App.vue가 메인페이지다.vue의 데이터 보관하는 곳데이터는 object자료로 저장한다.==> { 자료이름: 자료내용 }데이터 보관데이터 사용배열은 배열이름0 이런식으로 출력한다.
모든 HTML태그에 적용가능하다ex ):key의 용도\-반복문쓸 때 꼭 써야한다\-반복문 돌린 요소를 구분하기 위해 씀menus : ' ', ' ', ' '1번2번menu는 배열의 데이터가 되고, i는 인덱스가 된다 -> 2개쓰려면 뒤에 꺼를 key에 넣어줘야함
1. 이벤트 핸들러 1-1. 버튼 click > js함수명 대신 동작 자체를 넣어도됨 -> "신고수 += 1" 1-2. 버튼 mouseover > 함수 안에서 데이터쓸 땐 this.데이터명 1-3.
모달창의 기본구조 body{ margin: 0; } div { box-sizing: border-box; } .black-bg{ width: 100%; height: 100%; background: rgba(0, 0, 0, 0.5);
변수를 내보내겠다는 뜻변수를 받겠다는 뜻데이터를 내보낼 파일에서 export를 해줘야 다른 파일에서 import해서 쓸 수 있다:src="" or :href=""{{ 변수 }}
if 가 참이 아니면 else if로 넘어가고 그것도 참이 아니면 else로 넘어간다.
vue파일 만들어서 HTML만들기원하는 곳의 script태그 사이에 export default안의 component에 로 사용하기
부모컴포넌트에서 쓴 자식태그에 @click넣어주기 -> but, 자식의 어딜 눌러도 click이벤트가 발생할 것임==> 자식컴포넌트 안의 태그에클릭하면 부모에게 메세지가 간다
사용자가 input에 값을 입력할 때마다 실행됨데이터에 등록저장하기사용하기 - {{ }}안에 있으므로 중복해서 {} 안써줘도 됨\`유저가 입력한 값이 month로 저장됨\`\`❗ input에 입력한 값은 전부 문자자료형으로 저장된다 ❗
사용자가 input에 입력한 자료의 유형이 일치하는지 검사해주는export default에 watch라는 이름으로 등록그 안에 감시할 데이터 이름으로 함수형식으로 작성그럼 month라는 데이터가 변할 때마다 month안에 있는 코드가 실행된다a는 month의 값이다b는
1. CSS로 애니메이션주기 >
아니다.같은 array를 할당받은거기 때문에 그 변수도 같이 정렬된다.array는 '=' 등호로 대입하면 왼쪽 오른쪽 값을 공유한다는 뜻이 되기 때문에, 같은 메모리 주소를 갖게 된다.따라서
훅이란?다음 단계로 가기 전에 이걸 실행해주고 가세요~라고 후크를 거는 것데이터만 존재하는 단계< template>사이에 있던걸 실제 html로 바꿔주는 단계mounted함수를 사용하면 코드가 실제 html로 변환이 된 후에, 함수가 실행이 된다.inde.html
1. router 설치하기 > 2. router 폴더 생성 > src/router.js 생성 후 이런 형식으로 작성 3. router 사용하기 > ex
children안에 { } 만들기"/detail/:id/author" "/detail/:id/comment"로 접속그리고 어디서 보여줄 지 보여줄 곳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