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개의 컴퓨터가 통신이 필요할 때, 물리적(보통 이더넷 케이블)으로 또는 무선(예를 들어, WiFi)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모든 현대 컴퓨터들은 이러한 연결 중 하나를 이용하여 연결을 지속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두 대의 컴퓨터로 제한되지 않고 원하는 만큼의 컴퓨터를 연결할 수 있으나, 연결이 많아질 수록 매우 복잡해진다. 예를 들어 10대의 컴퓨터를 연결하려는 경우 컴퓨터 당 9개의 플러그가 달린 45개의 케이블이 필요하다..
보기만 해도 어지러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네트워크의 각 컴퓨터는 '라우터'라고 하는 특수한 소형 컴퓨터에 연결된다. 라우터는 단 하나의 작업만 수행하는데 철도역의 신호원처럼 주어진 컴퓨터에서 보낸 메시지가 올바른 대상 컴퓨터에 도착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컴퓨터 B에게 메시지를 보내려면 컴퓨터 A가 메시지를 라우터로 보내야하며, 라우터는 메시지를 컴퓨터 B로 전달하고 메시지가 컴퓨터 C로 배달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이 라우터를 시스템에 추가하면 10대의 컴퓨터 네트워크에는 10개의 케이블만 필요하다. 각 컴퓨터마다 단일 플러그와 10개의 플러그가 있는 하나의 라우터가 필요하다.
지금까지는 그리 나쁘지 않았다. 그런데 수백, 수천, 수십억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는 것은 어떨까? 물론 단일 라우터는 그 정도까지 확장 할 수는 없지만 생각해보면 라우터는 소형 '컴퓨터'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라우터 또한 서로 연결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컴퓨터를 라우터에 연결하고, 라우터에서 라우터로, 무한히 확장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우리가 인터넷이라고 부르는 것에 매우 가깝지만 뭔가를 놓치고 있다.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은 옆집, 옆 동네 뿐만 아니라 서울에서 부산까지도 연결되어있다. 거리가 멀어질 수록 케이블을 연결하는 방법에는 한계가 따를 것이다. 이 문제는 어떻게 처리 할 수 있을까?
전력 및 전화와 같이 이미 집에 연결된 케이블을 예로 들 수 있다. 전화기 기반의 시설은 이미 세계 어느 곳과도 연결되어 있으므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완벽한 배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모뎀'이다. 모뎀은 네트워크의 정보를 전화 시설에서 처리할 수 있는 정보로 바꾸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우리의 네트워크는 전화 시설에 연결된다. 다음 단계는 우리의 네트워크에서 도달하려는 네트워크로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Internet Service Provider, ISP)에 연결해야 한다. ISP는 모두 함께 연결되는 몇몇 특수한 라우터를 관리하고 다른 ISP의 라우터에도 액세스 할 수 있는 회사이다. 따라서 우리 네트워크의 메시지는 ISP 네트워크의 네트워크를 통해 대상 네트워크로 전달된다. 인터넷은 이러한 전체 네트워크 인프라로 구성된다.
왜 요새는 작성 안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