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QL 하나로 합계, 평균, 정렬까지 다 해먹는 대 SQL시대가 열려버린 것임.더 이상 엑셀 붙잡고 있지 않아도 된다는 거야.아아 엑셀의 시대가 저물고 대 SQL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찾아라 너희들의 취업 성공 가도를.데이터 분석에 모든 걸 두고 왔다.\+, -, \*

"데이터는 엑셀로 다 되는 거 아냐?문돌이 김민규는 방심하고 있었다. 고작 컴활 2급 따고 데이터 분석을 할 줄 안다고 생각했다.근데 웬걸, 실무는 생각만큼 호락호락하지 않다.나에게 찾아온 청천벽력, 아니 은총 — SQL. SQL? 그게 뭔데 먹는 거야?SQL은 Str

회사에서 데이터 보면 꼭 이런 경우 있지:상점 이름이 바뀜 (Blue → Pink)주소에 필요 없는 동네 이름“서울 음식점” 이런 식으로 묶어야 할 때이럴 땐 아래 세 개 함수로 해결 가능!예시: 엑셀에서 if 쓰듯이 SQL도 똑같이 가능함.복잡한 경우는 case 문

4주차 핵심은 Subquery랑 JOIN임. 그걸로 복잡한 연산을 깔끔하게 정리하는 법 배우는 주차.Subquery 써서 여러 번 연산 한 큐에 끝내기 JOIN으로 다른 테이블 정보 같이 가져오기 REPLACE: 문자열 일부 바꾸기SUBSTRING: 문자열 일부 잘

SELECT : 데이터 조회 (가져올 컬럼 지정)FROM : 데이터를 조회할 테이블 지정WHERE : 조건 필터링AND / OR / NOT : 복수 조건 처리BETWEEN : 범위 필터링IN : 지정된 값 중 하나 포함 여부LIKE : 문자열 패턴 매칭LIMIT : 결

전번에 배운 기본 개념에 대해서 제대로 정립을 안하고 가니 문제는 풀리는데 자꾸 궁금한 점이 생겨서 다시 한 번 나의 언어로 정리 해보려 한다!structured 구조화 된 Query의문을 제기하는 Language언어쉽게 말하면 데이터에 질문하고, 수정하는 언어다.GU

우리는 기초 단계에서 where 함수만을 배웠다. 근데 갑자기 남들은 having절을 막 쓰는 거임.이미지 출처차이점은 having은 where과 다르게 집계 함수!(연산자 따위)를 사용 할 수 있다.또 그룹바이를 기준을 where은 Group by 전에 오지만,ha
주요 수치 함수ABS(): 주어진 숫자의 절댓값을 반환합니다.예시:ABS(-4.5)→4.5 ABS(4.5)→4.5내림CEIL(): 주어진 숫자보다 크거나 같은 가장 작은 정수를 반환합니다.예시: 올림FLOOR(): 주어진 숫자보다 작거나 같은 가장 큰 정수를 반환합
INNER JOIN (기본 조인)INNER 생략 가능 on 안쓰면 cross join 됨두 테이블 모두 있는 값만 합치기LEFT JOIN왼쪽 테이블 값만 모두 존재빈 값은 NULLRIGHT JOIN오른쪽 테이블 값만 모두 존재빈 값은 NULLOUTER JOIN두 테이블
union 끼리는 컬럼이 일치 해야함>>

ID가 중복돼도 막을 수 없음심지어 NULL도 들어감누가 누구인지 구별 안 됨실수로 영희 주문을 철수에게 연결할 수도 있음→ 즉, 데이터가 망가져도 아무도 못 막음각 행을 고유하게 구분함중복❌ / NULL❌예: 주민등록번호, 학번, 유저 ID💡 없으면?→ 철수 두 명
SQL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JOIN! 개념은 익숙한데 막상 쓰려 하면 헷갈리는 JOIN들… 내가 직접 궁금했던 것들을 기준으로 JOIN 완전 정리 + 실습용 예제까지 준비했음. 👨🏻💻 입문자도 그대로 따라 하면 감 잡을 수 있음! 제발... 시간 내서 완독하고 한 번만 실습 예제까지 풀어주면 좋겠다... 무조건 이해 될텐데... ✅ JOIN v...
“HAVING으로 다 되는데, 굳이 WHERE 왜 씀?”→ 이거 진짜 많이들 궁금해함. 명확하게 알려줄게.WHERE을 안 쓰면 SQL이 비효율적이거나 느려짐.WHERE은 GROUP BY 전에 먼저 필터링됨 → 필터링된 행이 적으면 연산량이 줄어듦.HAVING은 GROU
Q.윈도우 함수도 그룹 바이랑 쓸 수 있나? 둘 다 묶는 거라서... 그리고 혹시 된다면 어떻게 묶이는지도 궁금한데?와—이 질문 진짜 핵심 찌른다! 👏윈도우 함수랑 GROUP BY는 처음엔 둘 다 “묶는 거”처럼 보여서 헷갈리기 쉬운데,사실은 완전히 역할이 달라. 그
| 종류 | 이름 | 역할 | 예시 | | ------ | ---------------------------- | -------------- | ------------------ | | 🌟 중심표 | 팩트 테이블 (Fact Table) | 숫자...
먼저 집고 갈 것기본키=primary key외래키=분리하면 원래 테이블에 생김"엑셀표처럼 만든 테이블, 좀 더 깔끔하게 만들자!"데이터가 중복되면 → 수정할 때도 중복으로 고쳐야 함 → 귀찮고 실수 나기 쉬움그래서 정리하는 거임.→ 하나의 셀에 여러 값이 들어가 있음

SQL 쿼리는 쓰는 순서랑 실행 순서가 다름. FROM → JOIN → WHERE → GROUP BY → HAVING → SELECT → ORDER BY 순서로 실행됨.WHERE에서 집계 함수 못 쓰는 이유는 GROUP BY 이후에 계산되기 때문임. 그래서 HAVING

Today I learned ! by performance marketer ni orewa naru 🔐학습 키워드 데이터 분석 파이썬 종합반 1~3주차 톺아보기😆 📖오늘 학습 내용 오늘은 아래와 같이 SQL 기본 세팅부터 시퀀스 사용법, 조건 If/for,

by performance marketer ni orewa naru오늘은 아래와 같이 SQL 기본 세팅부터 시퀀스 사용법, 조건 If/for, range, while 등의 사용법을 간단히 훑었다. 📍 3주차 파이썬의 근육: 조건문, 반복문데이터를 내가 원하는대로 움직

업로드중..print(): 화면에 출력input(): 사용자 입력 받기 → 문자열이므로 숫자 계산에 쓰려면 int() 필요type(): 자료형 확인형변환: int(), float(), str()숫자형 (int, float), 문자열 (str), 논리형 (bool)산술
UNION과 UNION ALL은 두 개 이상의 SELECT 결과를 수직으로 붙이는 것👉 쉽게 말해, 행을 합쳐서 하나의 테이블처럼 보여주는 것.우리가 평소에 쓰던 JOIN이 가로로 붙여 '열'에 붙는 거랑 반대라고 생각하면 됨예:결과: 중복된 행은 하나만 보여줌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