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클라우드 배포환경 구축 기초 |
---|
클라우드: 웹사이트를 돌리기 위한 도메인,서버 데이터 베이스를 제공해주는 인프라 |
aws :클라우드 제일 잘나가는 서비스 Amazon web service |
s3 :클라우드 저장소 |
버킷 :s3에서파일을 저장하는 폴더 |
팀프로젝트 |
---|
주제:삐빅출석입니다! 출석체크인/아웃 시간을 기록해 효율적인 공부시간 습득 |
주요기능:체크아웃,로그인,명언랜덤생성,시간저장 |
내임무: 소셜로그인 구현,사용자 정보 저장,약간의 디자인 |
작업방식:git 브랜치 만들어서 공유 및 trello를 이용해 실시간 상황 정리 |
벌써 1주차가 끝나고 2주차도 끝났다 별로 한 것도 없는데 시간이 후딱후딱 지나가는 기분이다. 특이하게도 이번에는 추석이 껴 있어서 3일정도 휴식을 가지는 시간이 있었는데 나는 외갓집 그리고 친가가 가까워 공부 할 시간을 많이 벌 수 있었다, 그렇다 시간은 많았다...무언가 쉬는날이 생기니까 힐링이 되는기분이다 일주일 열심히 달리고 쉬면서 재충전을 하니 엉덩이가 의자에서 떠나지를 않는다. 심지어 이번에는 새로운 강의 aws 클라우드 배포환경 구축기초 강의를 듣고 처음으로 팀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다. 클라우드 배포환경 구축기초 강의는 내가 처음 프로젝틀를 만들때 하던 aws ip 주소를 이용한 도메인 저장말고 더 세심한 내용이 들어 있었다 강의를 들으며 자연스럽게 aws,클라우드에 역사에 대해서도 알게되고 aws 기능을 하나하나 만지면서 알아가니 어려우면서도 이런 기능들이 없었다면 도대체 얼마나 많은 노력들이 있어야 자신이 만든 서비스에 다가갈 수 있었을까 라는 생각이들었다.
그리고 시작한 내배캠 1차 프로젝트 저번에 내배단에서 한 번 프로젝트를 했던 경험이 있어서 자신이 있었지만 역시 점점 파고들수록 모르는 거 투성이다 자만했던 나자신에게 회초리 5만대를 선사하고 싶다.특히 소셜 로그인 api를 구현하는 것에 있어서 난관을 겪었다 구현은 할만 했지만 사용자 정보를 저장해서 내 마음대로 꺼내쓰는것이 정말정말 어려웠다.막힐때는 팀원분들과 상의를 했는데 다른 기능으로 대체해도 되니까 너무 신경쓰지 말라고 해주셔서 힘이 되었던 거 같다.포기 하기는 싫지만 내 한계를 인정하고 다른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도 좋다고 생각해 다른 기능을 구현해볼 생각이다 1주차 프로젝트 너무 많은것을 넣을려는 생각말고 차근차근 하나씩 추가한다는 생각으로 열심히 해볼생각이다. 다음주도 화e팅!
📌강의 들을때 찔끔찔끔 말고 딱 시간과 목표 정해서 빡 듣기
📌적어도 새벽1시에는 취침에 들기
📌너무 강의에 나오는 코드에 의존하지 말고 내가 코드 만들기
📌안되는것 혼자 끙끙앓지 말고 도움 요청하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