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코드업 기초 100문제 - [기초-출력] 1001 ~ 1008

박서현·2021년 5월 12일
0

코드업에서 기본적으로 [문제 / 문제에 대한 힌트]를 제공하는 언어는 C++파이썬 이다.

지금 자바 스프링을 공부하고 있기도 하고,
그리고 무엇보다, 자바가 가장 편하다.

향후, 파이썬이 필요하다면, 파이썬으로 [코드업 기초 100문제]를 시작할 것이다.

간단하지만서도 기초를 체크할 수 있는 목적으로 코드업 기초 100문제를 풀어보면 굉장히 좋을듯 하다.

해당 글에서는 챕터 별로, 내가 쓴 답안을 업로드할 것이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해당 코드에 필요한 개념과 설명을 정리할 것 이다.

코드업 1001 : [기초-출력] 출력하기01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
}

처음에는 너무 쉽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코딩은 잘게 잘게, 잘 쪼개서 그것들을 순서대로 컴퓨터 언어로 잘 표현하는 것이 관건이다.

TIP) 코드업의 1001번 문제에는 C++로 힌트를 주고 있다. 힌트 부분은 참고용으로 사용하고, 출력 값이 어떻게 나와야하는지에 집중해서 문제를 풀면 좋다.

코드업 1002 : [기초-출력] 출력하기02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

TIP) 이 답안을 기본적인 틀로, 자주 사용할 것 이다. 이 부분을 계속 쓰는 시간을 줄이려면, 상단 바에서, 내정보 - 코딩 스타일 설정 부분에서 [기본 언어]와 [ 기본 코드 ]를 설정할 수 있다. 아래 이미지를 참고하면 찾을 수 있다.

코드업 1003 : [기초-출력] 출력하기03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nWorld");
  	}
}

코드업 1004 : [기초-출력] 출력하기04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
}

출력하려고 하는 값 안에, 따옴표(')가 있는 경우에는, 따옴표 앞에 (백슬래쉬) 를 넣어야 한다.

코드업 1005 : [기초-출력] 출력하기05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

코드업 1006 : [기초-출력] 출력하기06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
        System.out.println("\"!@#$%^&*()\"");
    }
}

코드업 1007 : [기초-출력] 출력하기07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
        System.out.println("\"C:\\Download\\hello.cpp\"");
    }
}

코드업 1008 : [기초-출력] 출력하기08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
        System.out.println("\u250C\u252C\u2510");
        System.out.println("\u251C\u253C\u2524");
        System.out.println("\u2514\u2534\u2518");
    }
}

결과값이 아래와 같게 나오게 하려면,
┌┬┐
├┼┤
└┴┘
아래의 이미지에서 해당하는 유니코드의 코드를 각각 넣는다.

설명) ┌ -> 행이 2500 에 해당하고 열이 C 에 해당한다. 둘을 합해서 250C 가 된다.
그리고 유니코드의 u를 따서 \u250C 를 입력한다.

[기초-출력문] 관련한 문제는 이렇게 끝이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기초-입출력] 문제의 답안을 쓸 것 이다. 양이 많아, 3개 포스팅으로 나누어 작성할 예정이다.

profile
불편함을 당연시 여기지 않고, 더 나은 프로세스를 위해,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위해, 공부하고, 메모하고, 개발하는 박서현 입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