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설 검정을 통해 ‘우연인가 vs. 통계적으로 유의미한가’를 판단
대표 기법:
t-test
: 평균 차이 검정 (예: VIP vs 일반 고객)chi-squared test
: 비율 차이 검정 (예: 클릭률, 전환율)지도학습
비지도학습
시계열 분석: Prophet, statsmodel
LLM 활용: 자연어 응답 자동화 (RAG, Text-to-SQL 등)
.py
형태로 API화Scrum 방식 협업: 기능 분담, 주간 회고, Notion & Github 정리
문서화의 중요성: Git, 블로그, Google Docs 등 활용하여 기록 남기기
초기 마인드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