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작성한 코드에서 문법적인 오류나 스타일 문제를 자동으로 찾아주는 도구이다.
--fix
옵션 등)언어 | 린트 도구 | 설명 |
---|---|---|
Java | Checkstyle, PMD, SpotBugs | 문법 + 코드 스멜 분석 |
JavaScript | ESLint | 스타일 + 문법 분석 |
Python | flake8, pylint | 문법 검사 + 경고 |
Go | golint | 경량 문법 검사기 |
Kotlin | ktlint, detekt | 스타일, 코드 스멜 검사 |
항목 | Linter | Formatter |
---|---|---|
목적 | 오류, 스타일 위반 검출 | 코드 자동 정리 (예: 들여쓰기) |
예 | 세미콜론 없음 감지 | 세미콜론 자동 추가 |
자동 고침 | 일부 가능 (--fix ) | 대부분 자동 고침 위주 |
💡 보통 Lint + Formatter를 같이 써야 최고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린트는 소나큐브와는 다르다는 걸 알게 되었다. 소나큐브에 포함되어 있긴 하지만 린트는 IDE 수준에서 실시간 검사를 하는 것이고, 소나큐브는 전체 프로젝트를 분석해서 중복 코드, 테스트 커버리지, 복잡도, 보안까지 점검해주는 것이었다.
그래서 린트가 단순히 코드 스타일을 맞추는 도구가 아니라, 코드 품질을 지켜주는 첫 번째 방어선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 사소해 보이는 문법 오류나 스타일 문제가 결국에는 유지보수성과 버그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또한 팀 프로젝트에서는 린트를 도입함으로써 스타일을 사람마다 맞추는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는 걸 느꼈다. 규칙을 정하고 자동화하면 불필요한 코드 리뷰 피드백을 줄이고, 더 중요한 로직에 집중할 수 있을 것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