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4(Google Analytics 4)는 구글이 제공하는 웹/앱 통합 분석 도구이다.
기존의 Universal Analytics(UA)의 후속 버전으로 2023년 7월부터 UA는 종료되었고 이제 모든 분석은 GA4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쉽게 말해, GA4는 ‘사용자의 행동을 추적하고 시각화해주는 도구’다.
이런 모든 행동들을 데이터로 수집하고 분석 가능한 형태로 보여준다.
GA4는 기본적으로 “이벤트 기반(event-based)” 구조이다.
기존 UA는 페이지뷰 중심의 데이터 수집 방식이었지만 GA4는 사용자의 행동 하나하나를 전부 “이벤트”로 간주하고 이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수집한다.
사용자 행동 | GA4 이벤트 이름 | 설명 |
---|---|---|
홈페이지 접속 | page_view | 메인 페이지 진입 시 자동 수집 |
추천 시작 버튼 클릭 | start_click | 추천 퍼널 진입 시 커스텀 이벤트 |
질문 1~9번 모두 완료 | questions_complete | 모든 질문 응답 완료 시 기록됨 |
추천 결과 도달 | result_view | 결과 페이지 도달 시 발생 |
추천 상품 클릭 | product_click | 실제 상품을 클릭한 경우 |
처음부터 다시 시작 클릭 | restart_click | CTA 클릭(재시도 유도) |
GA4에서는 위와 같은 이벤트를 직접 정의하거나 자동 수집되는 이벤트들과 조합하여 전체 퍼널의 흐름을 추적할 수 있다.
각 이벤트에는 파라미터를 추가하여 보다 세부적인 분석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product_click
이벤트에는 클릭된 상품의 product_id
, title
, price
등을 함께 보낼 수 있다.
우리 서비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퍼널을 정의하여 사용자의 행동 흐름을 추적하고 있다.
[홈 접속] -> [추천 시작 클릭] -> [질문 응답 완료] -> [추천 결과 도달] -> [상품 클릭 or 처음부터 다시하기]
이를 통해 우리는 다음을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UI 개선, UX 흐름 최적화, 추천 품질 개선 등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가능해진다.
지표 이름 | 설명 |
---|---|
사용자 수 | 서비스에 방문한 전체 사용자 수 |
세션 수 | 방문자의 활동 단위 (앱 열기/웹 진입 한 번이 1세션) |
이벤트 수 | 모든 사용자 행동 이벤트의 총합 |
전환 수(Conversion) | 정의한 목표 행동(예: 추천 시작, 상품 클릭 등)의 완료 횟수 |
유입 경로 | 사용자가 어떤 채널(검색, 광고, SNS 등)을 통해 유입됐는지 추적 |
이탈률 (Bounce rate) | 한 페이지만 보고 나간 비율 (기본적으로 자동 측정) |
GA4를 통해 아래와 같은 퍼널 전환률 및 사용성 지표들을 측정 중이다
| 지표명 | 계산식 | 의미 |
| ------------- | ------------------------------------ | ----------------------- |
| 시작 클릭률 | start_click
/ page_view
| 방문자 중 실제로 추천을 시작한 비율 |
| 질문 완주율 | questions_complete
/ start_click
| 추천을 제대로 끝까지 진행한 유저의 비율 |
| 결과 도달률 | result_view
/ start_click
| 추천 결과까지 성공적으로 도달한 유저 비율 |
| 상품 클릭률 | product_click
/ result_view
| 추천 결과를 클릭한 비율 (핵심 KPI) |
| 처음부터 다시하기 클릭률 | restart_click
/ result_view
| 추천 결과를 보고 다시 시작하려 한 비율 |
예시) 상품 클릭률이 낮다면 추천 품질이 떨어졌다는 뜻일 수 있다.
반대로 다시하기 클릭률이 높다면 UX가 아쉽거나 추천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다는 의미일 수 있다.
많은 백엔드 개발자들이 GA4를 “프론트엔드 개발자만 알면 되는 분석 도구”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백엔드 개발자도 알아야 한다:
전체 서비스 흐름을 이해해야 한다.
사용자가 어느 API에서 이탈하는지 어떤 흐름이 병목인지 알 수 있다.
프론트와 협업할 때 트래킹 이벤트에 대한 명확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어떤 이벤트를 어떤 시점에 어떤 파라미터와 함께 트래킹해야 할지 설계에 참여할 수 있다.
서버에서 직접 GA4 이벤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예: 특정 API가 호출되었을 때 서버가 GA4로 이벤트를 직접 전송
※ 서버에서 GA4로 이벤트를 전송하려면 measurement_id
와 api_secret
이 필요하며, GA4 Admin > Data Streams > Measurement Protocol에서 설정 가능하다.
{
"client_id": "UUID",
"events": [
{
"name": "product_click",
"params": {
"product_id": "abc123",
"title": "감성 무드등",
"price": 18900
}
}
]
}
GA4는 사용자 흐름을 가장 명확하게 보여주는 도구다.
이러한 모든 판단의 근거가 GA4의 데이터에서 나온다.
GA4는 단순한 '트래킹 도구'가 아니라 ‘데이터 기반 서비스 운영’의 핵심 도구다. 비즈니스 관점에서도 기술 운영 관점에서도 반드시 이해하고 활용해야 할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