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M? 보통 컴퓨터나 laptop을 구매할 때 RAM이라는 단어를 많이 들어보는 것 같다. RAM은 Random Access Memory이고 휘발성 메모리이다. (그 초록색 길다란 막대기...) 여담으로는.. 예전에 사귀던 애인이 자기 노트북에 RAM 슬롯이 없는 것을 모른채로 RAM을 사서 자가 장착하려고 했었다. 물론 없다는것을 알게 된 뒤 그 RAM은 나에게 넘어왔다. 크하하 그래서 나의 그램의 뒷판을 뜯어본 기억이 있다. 저 초록색 길쭉한 막대기가 RAM이다!! 8기가 RAM을 가진 나의 그램이 진화했다ㅎㅎ 각설하고,
POP QUIZ (4.1 과 4.2 퀴즈 대비) host는 routing/forwarding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가 ? (F) network 계층에서는 routing/forwarding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가 ? (T) IP 계층에서 in-order과 loss를 support 하는가? (F, TCP가 4계층에서 수행) PS는 CS와 다르게 layer2 계층을 interconnect 하는데에 더 유리하다. (T) Router에는 end host에서 출발한 app msg가 포함된 pkt만 전송한다. (F, router에는 router끼리 주고 받는 msg도 돌아다닌다.) Head of the Line Blocking은 output buffer에서 일어나는가? (F, input buffer에서 일어난다.) NETWORK LAYER (L3) network layer protocol은 모든 host(data plane에만) 와 router(data,control plane
운영체제란? 사용자 응용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인 CPU, 메모리, 입출력 장치등에 직접 접근을 할 수 없다. 그래서 운영체제가 존재한다! 운영체제의 중재에 의해서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한정적인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끔 도와준다. 운영체제는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과 시스템 하드웨어 사이에 존재한다. 하드웨어 추상화 플랫폼과 다양한 시스템 서비스를 한다. 다양한 계정이 존재하고, 계정을 생성하고 삭제 할 시 적절한 승인 절차가 필요하다. 운영체제의 종류 크게 윈도우 계열과 유닉스 계열로 나뉜다고 생각하면 된다. 운영체제의 역할 프로세스 관리 프로세스 생성, 제거, 중지, 동
데이터베이스의 정규화? 정규화는 데이터를 분해하는 과정으로 데이터 중복, 데이터 유연성 및 일관성, 정보의 품질 향상등을 위한 것이다. 정규화를 진행하면 중복된 데이터가 제거되고, 테이블이 분해된다. 정규화의 문제점 정규화를 한다면 데이터 조회를 할 때 join이 많이 일어나기에 메모리와 CPU를 많이 사용한다. 정규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반정규화를 이용!! 데이터베이스의 반정규화 반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조회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데이터 모델의 유연성이 떨어진다. 속도가 느려졌을때, 많은 범위를 처리해야할 때 등등 반정규화를 수행하게 된다. 반정규화 기법 칼럼을 미리 계산해서 추가한다. 테이블 수직 분할 하나의 테이블을 2개 이상으로 분할하는 것. 테이블 수평 분할 하나의 테이블에 있는 값을 기준으로 분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