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ers] 주차 요금 계산

Sierra·2022년 12월 13일
0

[Programmers] LV2

목록 보기
14/18
post-thumbnail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92341

문제 설명

주차장의 요금표와 차량이 들어오고(입차) 나간(출차) 기록이 주어졌을 때, 차량별로 주차 요금을 계산하려고 합니다. 아래는 하나의 예시를 나타냅니다.

  • 요금표
기본 시간(분)기본 요금(원)단위 시간(분)단위 요금(원)
180500010600
  • 입/출차 기록
시각(시:분)차량 번호내역
05:345961입차
06:000000입차
06:340000출차
07:595961출차
07:590148입차
18:590000입차
19:090148출차
22:595961입차
23:005961출차
  • 자동차별 주차 요금
차량 번호누적 주차 시간(분)주차 요금(원)
000034 + 300 = 3345000 + ⌈(334 - 180) / 10⌉ x 600 = 14600
01486705000 +⌈(670 - 180) / 10⌉x 600 = 34400
5961145 + 1 = 1465000
  • 어떤 차량이 입차된 후에 출차된 내역이 없다면, 23: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 0000번 차량은 18:59에 입차된 이후, 출차된 내역이 없습니다. 따라서, 23:59에 출차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 00:00부터 23:59까지의 입/출차 내역을 바탕으로 차량별 누적 주차 시간을 계산하여 요금을 일괄로 정산합니다.
  • 누적 주차 시간이 기본 시간이하라면, 기본 요금을 청구합니다.
  • 누적 주차 시간이 기본 시간을 초과하면, 기본 요금에 더해서, 초과한 시간에 대해서 단위 시간 마다 단위 요금을 청구합니다.
    • 초과한 시간이 단위 시간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 올림합니다.
    • ⌈a⌉ : a보다 작지 않은 최소의 정수를 의미합니다. 즉, 올림을 의미합니다.

주차 요금을 나타내는 정수 배열 fees, 자동차의 입/출차 내역을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recor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차량 번호가 작은 자동차부터 청구할 주차 요금을 차례대로 정수 배열에 담아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fees의 길이 = 4

    • fees[0] = 기본 시간(분)
    • 1 ≤ fees[0] ≤ 1,439
    • fees[1] = 기본 요금(원)
    • 0 ≤ fees[1] ≤ 100,000
    • fees[2] = 단위 시간(분)
    • 1 ≤ fees[2] ≤ 1,439
    • fees[3] = 단위 요금(원)
    • 1 ≤ fees[3] ≤ 10,000
  • 1 ≤ records의 길이 ≤ 1,000

  • records의 각 원소는 "시각 차량번호 내역" 형식의 문자열입니다.

  • 시각, 차량번호, 내역은 하나의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 시각은 차량이 입차되거나 출차된 시각을 나타내며, HH:MM 형식의 길이 5인 문자열입니다.

    • HH:MM은 00:00부터 23:59까지 주어집니다.
    • 잘못된 시각("25:22", "09:65" 등)은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차량번호는 자동차를 구분하기 위한, `0'~'9'로 구성된 길이 4인 문자열입니다.

  • 내역은 길이 2 또는 3인 문자열로, IN 또는 OUT입니다. IN은 입차를, OUT은 출차를 의미합니다.

  • records의 원소들은 시각을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주어집니다.

  • records는 하루 동안의 입/출차된 기록만 담고 있으며, 입차된 차량이 다음날 출차되는 경우는 입력으 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같은 시각에, 같은 차량번호의 내역이 2번 이상 나타내지 않습니다.

  • 마지막 시각(23:59)에 입차되는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 아래의 예를 포함하여, 잘못된 입력은 주어지지 않습니다.

    • 주차장에 없는 차량이 출차되는 경우
    • 주차장에 이미 있는 차량(차량번호가 같은 차량)이 다시 입차되는 경우

Solution

import java.util.TreeMap;

class Solution {

    public int timeToInt(String time){
        String data[] = time.split(":");
        return Integer.parseInt(data[0]) * 60 + Integer.parseInt(data[1]);
    }

    public int[] solution(int[] fees, String[] records) {
      
        TreeMap<String, Integer> map = new TreeMap<>();

        for(String record : records){
            String tmp[] = record.split(" ");
            int time = tmp[2].equals("IN") ? -1  : 1;
            time *= timeToInt(tmp[0]);
            map.put(tmp[1], map.getOrDefault(tmp[1], 0) + time);
        }

        int index = 0;
        int[] answer = new int[map.size()];
        for(int time : map.values()){
            if(time < 1) time += 1439;
            time -= fees[0];
            int cost = fees[1];
            if(time > 0){
                cost += (time % fees[2] == 0 ? time/fees[2] : time/fees[2] + 1) * fees[3];
            }
            answer[index++] = cost;
        }
       return answer;
    }
}

처음에 코딩했던 정답은 이것보단 훨씬 길었다. 조금 더 진보적으로 변경 된 코드를 가져 와 보았다.

처음에는 속도를 생각해서 HashMap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데이터의 양이 그닥 많지는 않고 (records 의 길이는 겨우 1000이다.) 나중에 차 번호판을 정렬하는 과정을 생략하기 위해 TreeMap을 도입하였다.

 public int timeToInt(String time){
    String data[] = time.split(":");
    return Integer.parseInt(data[0]) * 60 + Integer.parseInt(data[1]);
}
 
 for(String record : records){
    String tmp[] = record.split(" ");
    int time = tmp[2].equals("IN") ? -1  : 1;
    time *= timeToInt(tmp[0]);
    map.put(tmp[1], map.getOrDefault(tmp[1], 0) + time);
}

들어 온 시점을 음수, 나가는 시점을 양수로 처리한다. 어쨌거나 얼마나 많은 시간 체류했는 지 아는 게 중요하기 때문이다. 총 체류한 시간은 분 단위로 통일시켜준다.

int index = 0;
int[] answer = new int[map.size()];
for(int time : map.values()){
    if(time < 1) time += 1439;
    time -= fees[0];
    int cost = fees[1];
    if(time > 0){
        cost += (time % fees[2] == 0 ? time/fees[2] : time/fees[2] + 1) * fees[3];
    }
    answer[index++] = cost;
}
return answer;

그 후 기본 요금을 중심으로 현재 얼마나 요금이 나왔는 지 계산 해주면 끝난다. 단, 단위 시간 연산을 진행했을 때 나머지 값 확인하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그리고 마지막 마감시간 전 까지 출차하지 않은 차에 대한 처리 또한 해줘야한다. 입차 때 음수로 데이터가 전달 되었을 테니 여전히 음수로 남아있는 (출차 하지 않은 차) 차들에 대한 연산을 해준다. 23시 59분은 1439분이니까.

Outro

언어마다 제공하는 자료구조가 다양하게 존재하고 얼마나 그걸 잘 써먹느냐가 중요한 문제였다. 처음엔 HashMap을 사용해서 key값에 대한 정렬을 한번 더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 일어났었고 자료구조를 효율적으로 써먹지 못해서 map을 두개 배치해서 풀었다. 풀기야 풀었지만...코드가 맘에들지 않아서 여러 구글링 끝에 최종 개선해서 올린다.

profile
블로그 이전합니다 : https://swj-techblog.vercel.app/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