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에서 개발할때는 run보다는 debug를 실행하는 경우를 추천한다고 한다. 디버깅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나도 이 버튼이 뭐하는 버튼인지 모르는게 많지만 나중에 쓸 수 있으니까 따로 정리해뒀다.
단축키

- 우선 이 벌레모양을 클릭해야 디버그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 Windows: alt + shift + F9
- Mac: ⌥ + ⇧ + F9
Resume
- 다음 break point로 이동
- Windows : F9
- Mac : ⌥ + ⌘ + R
Step over
- 현재 break된 파일에서 다음 라인으로 이동
- Windows / Mac : F8
Step into
- 현재 break된 라인에서 실행 중인 라인으로 이동
- Windows / Mac : F7
Force step into
- 다음 실행되는 라인으로 이동하나, step into와 달리 Stepping을 무시하고 진행
- Windows: alt + shift + F7
- Mac: ⌥ + ⌘ + F7
🔎 Stepping : 디버깅중에 건너뛸 요소
Step out
- 현재 메소드에서 나가서 호출되는 다음단계로 이동
- Windows: shift + F8
- Mac: ⇧ + F8
drop frame
- 현재 메소드에서 나가서 호출되기 이전단계로 이동
- 단축키 없음
Run to Cursor
- 포커스 되어있는 라인으로 이동
- Windows: alt + F9
- Mac: ⌥ + F9
🔎 포커스란? 현재 사용중인 창에서 드래그된 부분
Evaluate Expression
- 현재 위치에서 코드가 실행(실제로 실행되니 주의)
- Windows: alt + F8
- Mac: ⌥ + F8
break point
- 행 번호 오른쪽을 클릭하여 빨간색 점인 break point를 만들수있다.
- 디버그 모드로 실행시에 해당 라인에서 멈춘다.

- 브레이크포인트를 우클릭시에는 멈춤 조건을 지정할수도있다. 반복문에서 특정값찾기 같은부분에서 유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