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이 프로젝트 초기마다 유용하게 쓰는 팁들 몇가지가 있는데 기억날 때 마다 적어두겠습니다. 알쓸신잡이라서 한번씩 읽어보면 좋을지도?
인텔리제이 윈도우 기준 F6 키를 누르거나 우클릭>Refactor>Move Inner Class>to upper level 하면

편하게 DTO로 변경할 수 있다. 특히나 record를 사용할 때 DTO를 컨트롤러에 구현해두면 왔다갔다안해서 보기 편한데 리팩토링하는 경우 자주 씀.
@Gett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Builder
@Entity
public class Diary { ... }
뭐.... 상식이죠 사실..?
@Builder로 생성자 관리, 테스트/서비스 코드 작성 편리@Data로 빠르게 쓰고, 나중에 @Getter, @ToString 등으로 분리 리팩터링 가능IntelliJ → HTTP Request (.http 파일)### Create Diary
POST http://localhost:8080/api/diaries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content": "기록 테스트",
"allowComment": true,
"visible": true
}
.http 파일로 API 문서 겸 테스트 스크립트 관리 가능spring:
jpa:
hibernate:
ddl-auto: create
properties:
jakarta:
persistence:
schema-generation.scripts.action: create
schema-generation.scripts.create-target: schema.sql
schema.sql가 생성 됨)create-drop을 사용하면 테스트용으로도 유용Settings > Live Templates에서 JUnit 템플릿 등록testpub → @Test public void $METHOD$() { } 자동 생성build.gradle에 아래 추가implementation 'org.springdoc:springdoc-openapi-starter-webmvc-ui:2.5.0'
/swagger-ui.html 로 접근# application.yml
s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e: local
# application-local.yml
server:
port: 8081
# application.properties
spring:
profiles:
active: dev
application-dev.yml, application-prod.yml 등 환경별 분리--spring.profiles.active=local 입력해서 실행 환경 쉽게 전환하면 편함인텔리제이는 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