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51)이항계수 2
나머지를 구하래서 변수를 추가해서 나머지를 구했더니 맞았다...?
import math
a, b = map(int, input().split())
answer = math.factorial(a) // math.factorial(a-b) // math.factorial(b)
rest = answer % 10007
print(rest)
(1010)
이항계수의 응용. 수학익힘책 느낌이다
import math
T = int(input())
for i in range(T):
N, M = map(int, input().split())
answer = math.factorial(M)//math.factorial(M-N)//math.factorial(N)
print(answer)
다리의 갯수에 맞게 샘을 하다 보니 이항계수가 나와서 바로 풀었다.
(1676)팩토리얼과 0의 개수
단순히 계산해서 리스트로 요소의 갯수 중 0을 찾으려고 했던 내 수식
import math
N = int(input())
fac = math.factorial(N)
strfac = list(str(fac))
Count = strfac.count("0")
print(Count)
오답이다. 간단했던 것만큼 용량이나 뭐 이런 저런 문제가 많아서 다른 분들꺼 참고했다.
import sys
N = int(sys.stdin.readline())
print(N//5+N//25+N//125) # 아마 5로 계산되어지는 모든 것들이 죄다 0으로 나눠 떨어져서 그걸 나눈 갯수들을 구한 듯.
- input() : 사용자의 입력을 받고 문자열로 변환하여 strip과정을 밟음.
- sys.stdin.readline() : 사용자의 입력은 받지만 개행문자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 크기에 제한을 줌으로써 한 번에 읽어들일 문자 수를 정할 수 있다.(크기 조정 등에 필요) ; sys로 불러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