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는 스프링에 대한 집중 학습을 진행했다.
스프링을 배우면서 느끼는 것은 나는 정말 스프링을 1도 모르는구나 라는 생각이 든다.
JWT
를 최대한 이해하려 해 보았지만 실패했다.. 컨텍스트? 에 대한 학습이 부족해서 그런지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많이 느꼈다. 강의를 이번주에 다시한 번 복습을 해봐야겠다.CRUD에 대한 부분은 매일 코드를 작성할때마다 자꾸 까먹는 것 같다. 매번 공부할때마다 새롭고 코드가 잘 작성될때는 즐거우나 막히기 시작하면 정말 답이 없을정도로 머리가 아프다...
특히 선택한 도서를 대출
하는 API에서 도서 대출현황 테이블을 만들고 그 안에 도서테이블 정보와 유저테이블 정보가 들어가야 하는 상황이 있었다. JPA 연관관계 매핑을 하지말고 구현을 해보라는 요구사항이 있어서 이것을 어떻게 구현해야할지 고민을 많이했던것 같다.
결론적으로는 userId와 bookId를 PathVariable로 직접 클라이언트가 입력해준다고 가정하면 연관관계까지는 필요 없었다.
하지만 대출 내역 조회 API
는 Response바디에 유저정보와, 도서정보와, 도서대출 정보가 모두 들어가야하는데... 이것을 연관관계 매핑 없이 어떻게 구현해야할지 정말 고민이 된다.
스트림 관련 코드들도 나오는데 스트림도 자주 사용되는거 같아 스트림에 관한 지식도 잘 쌓아올려야 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