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부터 9까지의 숫자 중 일부가 들어있는 정수 배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오늘은 문자열을 찾기 위해 사용되는 정규표현식에 대해서 다뤄보려고 합니다. 정규표현식(= Regular Expression)은 문자열에서 일부 문자열을 검색하거나 추출할 때 사용하며 RegExp, Regex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정수 배열 numbers가 주어집니다. numbers에서 서로 다른 인덱스에 있는 두 개의 수를 뽑아 더해서 만들 수 있는 모든 수를 배열에 오름차순으로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문제 2016년 1월 1일은 금요일입니다. 2016년 a월 b일은 무슨 요일일까요? 두 수 a ,b를 입력받아 2016년 a월 b일이 무슨 요일인지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문제 어떤 정수들이 있습니다. 이 정수들의 절댓값을 차례대로 담은 정수 배열 absolutes와 이 정수들의 부호를 차례대로 담은 불리언 배열 sig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실제 정수들의 합을 구하여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문제 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
오늘은 JS의 비트연산자(Bitwise Operator)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비트연산자는 두개의 정수를 비트로 변환하여 각 자릿수에 맞춰 연산자로 비교하거나 혹은 한개의 정수를 비트로 변환 후 자릿수를 옮긴 결과값을 다시 10진수로 반환하는 연산자입니다.
문제 S사에서는 각 부서에 필요한 물품을 지원해 주기 위해 부서별로 물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금액을 조사했습니다. 그러나, 전체 예산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모든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는 없습니다.
JS의 동작원리 3편 - 이벤트 루프 오늘은 JS의 동작원리 세번째 편으로 이벤트루프를 중심으로 다뤄보려고 합니다. > 주의 ❗ 이 글은 NodeJS가 아닌 브라우저 환경에서 동작하는 JavaScript를 기준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먼저 JS는 싱글쓰레드 언어로
명함 지갑을 만드는 회사에서 지갑의 크기를 정하려고 합니다.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명함들을 모두 수납할 수 있으면서, 작아서 들고 다니기 편한 지갑을 만들어야 합니다.
새로 생긴 놀이기구는 인기가 매우 많아 줄이 끊이질 않습니다. 이 놀이기구의 원래 이용료는 price원 인데, 놀이기구를 N 번 째 이용한다면 원래 이용료의 N배를 받기로 하였습니다.
나누어 떨어지는 숫자 배열 문제 array의 각 element 중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값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배열을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작성해주세요. divisor로 나누어 떨어지는 element가 하나도 없다면 배열에 -1을 담아 반환하
JS 동작원리 2편 - EC의 내부구조 오늘은 이전편에서 다뤘던 EC의 내부구조에 대해서 알아보고 추가적으로 스코프 체인, this, 클로저까지 함께 다뤄보려고 합니다.
문자열 다루기 기본 문제 문자열 s의 길이가 4 혹은 6이고, 숫자로만 구성돼있는지 확인해주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s가 "a234"이면 False를 리턴하고 "1234"라면 True를 리턴하면 됩니다.
길이가 같은 두 1차원 정수 배열 a, b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a와 b의 내적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JS의 동작원리 1편 (Execution Context) 오늘 다뤄볼 주제는 JavaScript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Execution Context에 대해서 다뤄보려고 합니다.
프로그래머스 소수 만들기 문제 주어진 숫자 중 3개의 수를 더했을 때 소수가 되는 경우의 개수를 구하려고 합니다. 숫자들이 들어있는 배열 num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ums에 있는 숫자들 중 서로 다른 3개를 골라 더했을 때
두 수를 입력받아 두 수의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 보세요. 배열의 맨 앞에 최대공약수, 그다음 최소공배수를 넣어 반환하면 됩니다.
호이스팅 (Hoisting) 오늘은 JavaScript의 호이스팅에 대해서 조금 더 자세히 다뤄보고자 합니다. > "호이스팅은 변수의 선언을 위로 끌어올려주는것으로 let과 const에서는 호이스팅이 동작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