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령어 형식


📌 오퍼랜드 수

📦️ 0-주소 명령어

연산 코드만 있고 오퍼랜드가 없는 명령어

🏠️ 1-주소 명령어

연산 코드와 하나의 오퍼랜드로 이루어진 명령어

🏘️ 2-주소 명령어

연산 코드와 2개의 오퍼랜드로 이루어진 명령어

🏢 3-주소 명령어

연산 코드와 3개의 오퍼랜드로 이루어진 명령어

🐜 주소가 적을수록

👍 장점
간단한 해독
짧은 명령어 길이
짧은 속도

👎 단점
복잡한 연산에 제한적
많은 주기억장치 액세스
긴 전체 프로그램 길이

🐘 주소가 많을수록

👍 장점
복잡한 연산에 용이
적은 주기억장치 액세스
짧은 전체 프로그램 길이

👎 단점
복잡한 해독
긴 명령어 길이
느린 속도


📌 주소지정 방식

제한된 수의 명령어 비트들로 긴 길이의 명령어를 표기하기 위한 방식


📌 가변/고정 길이

CISC 방식

= Complex Instructure Set Computer
가변 길이 명령어
복잡하고 오래 걸릴 수 있는 명령어
파이프라인 구현이 어려움
다양성과 유연성을 강조

RISC 방식

= Reduced Instructure Set Computer
고정 길이 명령어
단순하고 빠른 명령어
파이프라인 구현이 쉬움
단순성과 성능을 강조


김종현 저, 『컴퓨터구조론』, 생능출판, 2019.

profile
입니다.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