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 prompt 함수 function

Suji Kang·2023년 7월 12일
0

📌 값을 입력받아보자(기능)

📌 prompt 함수 function

  1. 📍 인자갯수 타입:
    0개,
    1개 -->입력할설명,
    2개 --> 설명, 기본값,
  2. 📍 함수 동작 : prompt창을 띄어서 입력을 받는다
  3. 📍 함수 사용 결과 값: prompt창에 입력한 값이 prompt함수 사용 결과가 된다.
    만약 취소버튼을 클리하면 결과는 null 이 된다.

🌟 타입 자료형

number 10, 3.1, ...
string '10' ,....
boolean true false
undefined undefined
null null

✏️✏️ 예시. 인자(Argument) 1개일경우:

prompt('안녕하세요');

✏️✏️ 결과값:

✏️✏️ 예시. 인자(Argument) 2개일경우:

prompt('당신의 이름을 입력하시오','안녕');

✏️✏️ 결과값:

🌟 typeof 연산자

단항연산자(피연산자가 하나)
typeof
값의 타입을 알려준다
연산결과는 문자열
만약 값이 number타입이면 --> 'number'
string 타입 --> 'string'
...등등

console.log(typeof id);
// typeof 연산자를 써서 그 함수의 타입을 알아낼 수 있다

✏️ 예시.

let id = prompt('반갑습니다', id, '님');
console.log(` 반갑습니다 ${id}`);
console.log(id, '님의 포인트는 1200점 입니다. ');
// OOO님의 포인트는 1,200점 입니다
console.log(id+'님의 포인트는 1,200점 입니다');
console.log(`${id}님의 포인트는 1,200점 입니다`);

✏️ 결과값:!

📌 형변환 함수(type conversion)

타입을 바꿔주는 함수
Number(a) --> a 를 Number 타입으로 바꾼 결과가 나온다.
Boolean(a) --> a 를 Boolean 타입으로 바꾼 결과가 나온다.
String(a) --> a 를 String 타입으로 바꾼 결과가 나온다.
...등등
Number('5642')

✏️ 예시.

// prompt 함수 실행결과는 string 혹은 null
let num1 = prompt('숫자 1 입력 >> ');
let num2 = prompt('숫자 2 입력 >> ');

console.log(`두 수를 더한 결과는 ${Number(num1 )+ Number(num2)}입니다`)

//1020 출력
//왜냐면? string + string = string 이기 때문에

console.log(`두 수를 더한 결과는 ${Number(num1) + Number(num2)}입니다`);
console.log(`숫자1에 10을 더한 결과는 ${num1 +10}입니다`);
// 1010

📌 document.write

인자 문자열 1개
인자로 전달받은 문자열을 html문서에 출력한다

✏️ 예시.

//prompt 함수
// 형변환을 계속 해주기 불편하니까 애초에 Number함수를 이용해 변환시켜서 넣어버리기
let num1 = Number(prompt('숫자1입력 >> '));
let num2 = Number(prompt('숫자2입력 >> '));
// 사용자가 보는 화면(문서)에 출력해주는 함수
document.write(`<h1>두 수를 더한 결과는 ${Number(num1) + Number(num2)}입니다`);
document.write(`숫자1에 10을 더한 결과는 ${num1 +10}입니다`);

✏️ 예시.

//경고 메세지를 띄어주는 함수
alert('wrong access);

//확인 메세지를 띄어주는 함수
let check = confirm('페이지를 나가시면 수정사항이 다 사라질수있습니다');
document.write(check);
//확인을 클리하면 함수 실행결과는 true
//취소를 클릭하면 함수 실행결과는 false

profile
나를위한 노트필기 📒🔎📝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