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RDS vs EC2 직접 설치 – 무엇이 더 나은 선택일까?

Pure·2025년 7월 6일
3

Spring

목록 보기
8/9
post-thumbnail

현대 클라우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성능과 안정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데이터베이스의 운영 방식이다. AWS에서는 대표적인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를 제공한다. 하지만 EC2 인스턴스에 직접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해 운영하는 방식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만큼 두 가지 방식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자.

1. AWS RDS의 주요 이점

1.1 관리 편의성 (Managed Service)

RDS는 AWS가 제공하는 완전관리형 서비스이다. 즉, 사용자는 인프라 유지보수 없이 데이터베이스 운영에만 집중할 수 있다.

자동화된 기능:

  • 백업 자동화 (예: 매일 새벽 3시 정기 백업)

  • 소프트웨어 패치 관리

  • 장애 시 자동 복구

  • 모니터링 및 알림 (CloudWatch 통합)

✅ 예시: 스타트업 A사는 하루 수천 건의 거래를 처리하는 쇼핑몰을 운영한다. EC2에 설치한 MySQL의 디스크가 가득 차 백업이 실패했고, DBA가 없는 상황에서 복구에 반나절 이상 걸렸다. 이후 RDS로 전환하여 백업과 모니터링을 자동화하면서 이슈 발생률이 90% 이상 감소했다.

1.2 고가용성 및 내결함성 지원

RDS는 Multi-AZ 배포를 지원한다. 이는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대기 인스턴스로 트래픽을 전환해 다운타임을 최소화한다.

✅ 예시: 중견 금융기업 B사는 RDS의 Multi-AZ 기능을 활성화하여 가용성을 확보했다. 실제로 1년 뒤, 리전 내 하드웨어 장애가 발생했을 때도 트래픽은 자동으로 대기 인스턴스로 전환되어 서비스 중단이 발생하지 않았다.

1.3 확장성 (Scalability)

버튼 클릭 또는 API 호출만으로 DB 인스턴스의 스펙(메모리, vCPU, 디스크)을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읽기 전용 Replica를 생성하여 읽기 부하를 분산할 수 있다.

✅ 예시: 교육 플랫폼 C사는 강의 시즌에만 트래픽이 급증한다. RDS에서는 CPU 알람이 70% 이상 지속될 경우 자동으로 인스턴스 스케일 업을 수행하도록 설정해 두어, 트래픽 급증 시에도 원활한 서비스가 가능했다.

1.4 보안 강화

  • VPC 내 격리

  • IAM 연동

  • KMS 기반 암호화 지원

  • SSL/TLS 연결 보장

EC2 직접 설치 시 보안 구성은 사용자의 책임이지만, RDS는 기본적으로 AWS 보안 정책을 따르며, 설정이 간편하다.

2. EC2에 직접 DB를 설치할 때의 장점과 RDS와의 차이점

항목RDSEC2 직접 설치
관리 편의성AWS가 대부분 관리모든 관리 수동
커스터마이징제한적 (DB 파라미터 그룹 내 설정)무제한 가능
비용상대적으로 비쌀 수 있음스토리지/인스턴스 선택 자유
자동화 기능백업/복구/모니터링 내장별도 스크립트 또는 설정 필요
보안/접근 제어IAM/VPC/KMS 연동수동 설정
OS 및 DB 버전 제어제한적 (지원 버전만 가능)완전 자유

✅ 예시: 게임사 D사는 PostgreSQL에 특정 확장을 적용해야 했는데, 해당 버전이 RDS에서 지원되지 않아 EC2에 수동으로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또한, DB 파일 시스템 수준의 접근이 필요한 상황에서도 EC2 방식이 유리하다.

3. RDS 사용이 적합하지 않은 상황

3.1 고도로 커스터마이징이 필요한 경우

OS, 커널 파라미터 조정 필요

DB 내부 확장 설치나 OS 접근이 필요한 경우

3.2 비용을 절감해야 하는 소규모 프로젝트

간단한 테스트나 개발 목적의 프로젝트는 EC2 + Docker로 구성하는 것이 비용 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3.3 특정 버전 또는 오픈소스 DB 포크 사용

예: TimescaleDB, PostgreSQL + PostGIS 등 비공식 확장이 필요할 경우 RDS는 제약이 크다.

✅ 예시: 데이터 분석 스타트업 E사는 PostgreSQL + Citus 확장 기반의 클러스터 구성이 필요했는데, RDS에서는 지원되지 않아 EC2에 직접 구축했다.

4. 결론

선택 기준추천 옵션
관리 자동화, 안정성, 빠른 시작이 중요한 경우RDS
커스터마이징, 비용 최적화, 실험적 구성이 필요한 경우EC2 직접 설치

RDS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안정적이고 빠르게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강력한 도구이다. 다만 모든 상황에 만능은 아니며, 서비스 특성과 요구사항을 고려해 적절한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
Clean Code를 위한 한 걸음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5년 7월 7일

정리가 잘 되어 있어 이해가 잘되네요! 잘 읽고 갑니다! 😊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