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프로그래밍은 컴퓨터와 대화하는 행위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사람들과 대화하기 위해 언어 뿐만 아니라 단어가 필요한 것 처럼 컴퓨터 또한 단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컴퓨터에게 있어 그 단어는 변수라고 생각한다. 즉 대화를 하기 위한 재료인 것이다.
재료 즉, 데이터를 살펴보면
기본형인 숫자, 문자, 논리 타입이 있고 참조형으로는 배열, 클래스 등등이 있다.
* 기본형 타입
* - 정수 : byte(1), short(2), *int(4/약20억), long(8)
* - 실수 : float(4/7자리), *double(8/15자리)
* - 문자 : char(2)
* - 논리 : boolean(1) true/false
* 참조형 타입
* - String(4)
보통 위 변수들은 선언과 초기화를 동시에 진행한다.
ex) int a = 10;
위 예를 살펴보면 a는 int형이라는 선언을 해줌과 동시에 값은 10을 주는 초기화가 같이 이루어지고 있다.
만약 초기화를 해주지 않는다면 각 형에 따라 기본값을 가지고 있다.
int = 0
String = null
boolean = false
각 타입은 기본값을 가지고 있음에 항상 유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