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E와 WebSocket의 차이를 알아보자WebSocket은 먼저 http통신으로 핸드쉐이크 후, 웹소켓 프로토콜 통신으로 바뀐다.SSE는 text/event-stream 미디어타입으로 http통신을 연결 후, 그 연결이 닫히지 않는다.여기서 주의점은 netty가 아
HttpServletReqeust는 getBody를 지원하지 않고, InputStream을 지원한다. 이유는 TCP 통신 특성상 데이터의 순차 도착을 보장하지 않고, 요청과 함께 온 파라미터가 유형이 다양하며, 계속 메모리에 들고있는건 비효율적이기 때문 그런데 Inp
보통 이런 오류가 떠서 구글에 검색하면, 트렌젝션에 관한 얘기가 나온다. 만약 위와 같은 구조가 있다고 할때, 1) Fetch Join을 하지 않는다면 2) Fetch Type이 Lazy라면 Entity가 조회될때 다음과 같이 영속된다. 1) Entity가 영속됨.
발단 외와 같은 코드가 있다. UserServcie::createUser의 userRespository.save(user)를 할때, Jpa AduitorAware을 구현하여, 유저의 createdBy 컬럼을 자동으로 주입해주는 코드이다. 이때, ApiLogger.g
JPA 환경에서 한 트랜잭션안에서 A객체를 save A객체를 update A객체를 commit A객체를 find 하면 A객체는 1번 상태의 A vs 2번상태의 A 어떤 객체가 조회될까? 실제 DB에는 UPDATE 쿼리까지 정상적으로 커밋되어 데이터가 반영된 상태이다
1. Subscribe 되자 마자 연결종료 되는 현상 SSE는 text/event-stream 형식으로 HTTP 통신을 한다. 이때, content의 길이는 정해지면 안되고, transfer-encoding은 chunked가 되어야한다. 하지만 나의 경우, Req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