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에서 화면에 출력하고자 할때는 print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print 예시
print("hello, word!")
설명
1. 먼저 print 함수를 작성합니다.
2. 괄호를 열어 "" 따옴표를 작성합니다.
3. 따옴표안에 "hello, word!"
라는 문자열 = string을 입력해줍니다.
4. run하면 화면에 hello, word! 라는 문자가 표시됩니다.
파이썬에는 여러가지 데이터타입이 존재합니다.
Variables = 변수를 뜻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문자열 변수는 쉽게 예를 들면
name = "송중기"
gender = "남자"
변수에는 string 뿐만이 아닌 숫자값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위에 배운 내용을 이용해서 화면에 출력하고 싶다면 밑의 예처럼 진행하면 됩니다.
name = "송중기"
print(name)
쉽게 말하면 값을 더해주는 함수입니다.
예를 들면
def add(a, b):
return a + b
add(3, 4)
7
설명
1. def 함수를 만들때 사용하는 예약어로 앞에 작성합니다.
2. add(a, b)
을 보면 a, b에 입력을 해줍니다.
3. return a + b
에 a + b는 결과값 입니다.
4. 즉 3, 4가 입력으로 들어오면 3 + 4를 수행하며 결과값 7이 나오게 됩니다.
더하기 +, 빼기 -, 나누기 /, 정수나누기// 등이 있다고 간단하게 정리하겠습니다.
간단한예시
num1 = 10
num2 = 2
num3 = num1 + num2
#12
더하기 +=, 빼기 -=, 곱하기 *=, 나누기 /=, 제곱 **
기본 연산처럼 2개의 변수에 연산을 하는게 아닌 본인 하나의 변수에 연산을 하는것 입니다.
간단한예시
나누기
num1 = 10
num1 /= 2
#5
쉽게말하면 연산 순서라고 볼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연산 순서는
1. ( )
2. *
3. , /, %
4. +, -
위의 순서대로 정의가 되어있습니다.
예를들면
result = (10 + 20) * 3
# 90
설명
1. result = (10 + 20) * 3
먼저 ( )가 있기 때문에 (10 + 20)
을 먼저 계산후 * 3
을 계산합니다. 그러면 값이 90이 나옵니다.
divide 함수는 쉽게 보면 나누기로 볼 수 있습니다.
DIVIDE(<numerator>, <denominator> [,<alternateresult>])
numerator = 나누어지는 숫자
denominator = 나눌 숫자
alternateresult = (선택 사항) 0으로 나누면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반환되는 값입니다. 제공되지 않으면 기본값은 BLANK()입니다.
파이썬 증감 연산자는 ++가 +=를 이용합니다. 마찬가지로 파이썬 감소 연산자도 --가 아닌 -=를 이용합니다.
예를들어
age = 20
age += 1
print(age)
age = 20
을 통해 age에 20을 주고, age += 1
을 통해 age값을 1증가 시켜줍니다.%연산자는 /연산자와 비슷하므로 헷갈리면 안됩니다 쉽게 설명하면
/연산자는 11 / 2 라면 5.5가 값이지만(몫)
%연산자를 이용하면 11 % 2 1이 나옵니다.(
나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