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DI에선 데이터 및 문서가 서버에 저장된다.
해쉬함수에 임의의 문자열을 추가함으로써 고객의 비밀번호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임의의 문자열은 SALT값에 해당한다.
(위 DDL문은 고객테이블에서 등급이 'VIP'인 고객의 고객아이디, 고객성명, 핸드폰번호를 추출하여 'VIP고객'이라는 뷰를 생성한다.)
뷰(view)는 사용자에게 접근이 허용된 자료만을 보여주기위해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이상의 기본 테이블로 유도된 논리적 가상 테이블이다.
정답 - 뷰를 생성할 때 WITH CHECK OPTION을 사용하면 뷰를 생성할 때의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만 추가/변경/삭제가 가능하게 된다.
[보기]의 사례에 접근한 정답 - 뷰에서 고객의 등급이 'VIP'인 경우에만
고객정보를 추가/변경/삭제가가능하도록 제약한다.
상위 클래스 추출 - 여러 하위 클래스의 유사한 기능의
필드나 메서드를 추출하는 리팩토링 기법
(클래스 추출 - Deposit 클래스와 Pension클래스에 포함된 유사한 필드(period, rate, money)나 메서드(calcInterest)를 추출하여 상위클래스로 옮기고 상위클래스로부터 상속받아 사용하도록하는 리팩토링 기법)
abstract class SavingAccount
{
protected int period;
protected double rate;
protected double money;
public abstract double calcInterest();
}
문제 해결 방법이나 알고리즘은 저작권 보호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
제목은 문서의 내용을 바로 알 수 있도록 구성해야한다.
제목을 '시스템 구축안'이라고 해버리면 제목만 보고
어떤 내용의 문서인지 알기가 어렵다.
A사는 프로젝트를 인공지능 솔루션 공급사에게 전가했다.
AC - 사용한 비용, EV - 획득한 성과, PV - 계획된 성과
SPI(Schedule) = EV/PV = 2.7/3.0 = 0.9
스케쥴과 관련된 계획을 EV에서 나눠준다.
CPI(Cost) = EV/AC = 2.7/3.6 = 0.75
Cost가 들어간 AC를 EV에서 나눠준다.
ROI = 영업이익/투자비용x100 = 40억원/(150억원+50억원)x100 = 20%
ROI는 이익이 투자비용대비 몇%나 되는지에 대한 값이다.
PP = 투자비용/영업이익 = (150억원+50억원)/40억원 = 5(년)
PP는 투자비용을 회수하려면 몇 년이 걸리는지에 대한 값이다.
S(Strong 강점) - 프라이빗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 대한 기술적 우위 차지
W(Weak 약점) - 프라이빗 클라우드가 주사업영역이라
퍼블릭 클라우드 운영에 대한 인프라, 서비스 기반 부족
O(Opportunity 기회) - 2015년 제정된 '클라우드발전법'으로 인해 기업들의
클라우드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음.
T(Threat 위협) - 아마존웹서비스(AWS)가 2016년 한국 내 클라우드 컴퓨팅
영역을 차지하기 위해 '서울 리전'을 가동하기 시작함.
퍼블릭 클라우드 - 블특정 다수에게 IT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
프라이빗 클라우드 - 기업이 시스템 자원을 소유하고 회사 전용의 클라우드로 사용하는 형태
B사는 인프라도 없고 시스템도 없으니까 Paas를 사용해야 한다.
Paas란 개발 및 운영 환경을 포함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건 뭔지 알아보자.
Saas - 소프트웨어를 인터넷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Iaas - 컴퓨터 인프라 장비를 제공하는 서비스
웹 접근성 - 장애인이나 고령자분들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용 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웹 호환성 - 서비스 이용자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환경이 다른 경우에도 동등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웹 브라우저의 버전이나 종류에 관계없이 웹사이트에 접근하는 것, 웹 표준을 준수하여 브라우저 호환성을 확보하는 것
반응형 웹
적응협 웹
String query = "SELECT * FROM ? WHERE Name = ?";
stmt = con.prepareStatement(query);
stmt.setString(1, tableName);
stmt.setstring(2, name);
쿼리문에 변수대신 ?를 넣고 setXXX(번호, 변수)형식으로
쿼리문에 대입시키는 형식으로 시큐어 코딩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