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현 알고리즘

Tsi0511·2023년 5월 31일
0

알고리즘 공부

목록 보기
2/6

구현이란?

코딩 테스트에서 구현이란 머릿속에 있는 알고리즘을 소스코드로 바꾸는 과정 이다.

어떤 문제를 풀든 간에 소스코드를 작성하는 과정은 필수이므로 구현 문제 유형은 모든 범위의 코딩 테스트 문제 유형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시

n = input() #나이트 위치
row = int(n[1])  # 행
column = ord(n[0])-96  # 열

# 나이트의 이동방식
steps = [[1, 2], [1, -2], [2, 1],
         [2, -1], [-1, 2], [-1, -2], [-2, 1], [-2, -1]]

# 이동 가능한 경우의 수 카운트
cnt = 0
for i in steps:
    nx = row+i[0]
    ny = column+i[1]
    if nx <= 8 and nx >= 1 and ny >= 1 and ny <= 8:
        cnt += 1

print(cnt)
  • 나이트의 위치를 입력받고, 나이트 위치값에서 정수형태로 행과 열을 분리한다.

  • 나이트가 이동하는 모든경우의 수를 저장한다.

  • 나이트의 이동하는 경우의 수를 하나씩 모두 탐색하며 이동 가능한 경우의 수를 카운트한다.

  • 현재 나이트의 위치가 체스판을 벗어나지 않는지 검사한 후 벗어나지 않는다면 cnt(나이트가 이동할 수 있는 경우의 수)에 1을 더한다.


풀이과정

  •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식을 생각
  • 이를 코드로 녹이는 과정을 세분화하여 작성
  • 세분화된 코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어려운 점 구글링을 통해 학습
  • 문제해결
profile
프론트 공부하는 중..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