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의 선언과 값의 할당에 대해서 알아보자.
let a;
변수는 'a'라고 선언했다.
a = 1;
'a'의 값은 '1'이라고 할당했다.
let name = "KNH";
let age = 29;
console.log(name+"의 나이는 "+age+"살이다.");
//KNH의 나이는 29살이다. 로 출력
변수는 'name'으로 선언되었고, 선언된 변수 'name'의 값은 "KNH"라고 할당되었다.
변수를 선언하고 선언한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 항상 주의할 점.
String(문자)는 항상 "", ''를 쳐서 String이라는걸 표현.
Number(숫자)는 그냥! Just! 숫자만 입력.
변수 선언과 값 할당에 사용되는 용어의 한정을 알 수 없어서 내일 이후 다시 개념정리를 할 것
-> 선언 (declaration)
let age;
-> 할당 (assignment)
age = 12;
원시자료형과 참조자료형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원시자료형
1. Number (숫자) 1, 2, 3, 4, 5, ... ~
2. String (문자) ex. "apple", "samsung", "LG" etc..
3. Boolean (true & false) true or false
4. Undefined (undefined)
5. Null (null)
참조자료형
1. Array (배열)
let arr = [1, "애플", true, undefined, null, function(){}]
console.log(arr);
와 같은 식으로 데이터값을 배열
let arr = [1, "애플", true, undefined, null, function(){}];
console.log(arr);
// [1, "애플", true, undefined, null, ƒ] 로 출력
let price = {
Iphone: 1200,
SamSung: 1100,
LG: 900
}
console.log(price.Iphone);
// 1200 으로 출력
typeof를 이용하면 타입을 확인할 수 있다
console.log(typeof 1);
//number로 출력
console.log(typeof "애플");
//string으로 출력
'==='와 '=='의 차이점
== : equal operator
=== : strict(엄격한) equal operator
console.log(1==1); //true
console.log(1=="1"); //true
console.log(1==="1"); //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