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ventional Commits에서 사용되는 주요 타입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각 타입은 커밋의 목적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feat (Feature, 기능 추가)feat: 사용자 프로필 페이지 추가
feat(auth): 소셜 로그인 기능 구현fix (Bug Fix, 버그 수정)fix: 로그인 오류 수정
fix(api): 응답 데이터가 null일 때 발생하는 예외 처리docs (Documentation, 문서 수정)docs: README에 설치 방법 추가
docs(guide): API 사용 예제 수정style (Styling, 코드 스타일 변경)style: 코드 정리 및 불필요한 공백 제거
style(css): 버튼 테두리 스타일 변경refactor (Refactoring, 코드 리팩토링)refactor: 데이터베이스 쿼리 최적화
refactor(component): useEffect 정리 및 상태 관리 개선perf (Performance, 성능 개선)perf: 이미지 로딩 최적화
perf(query): API 요청 횟수 줄이도록 개선test (Testing, 테스트 코드 추가/수정)test: 로그인 유닛 테스트 추가
test(utils): 날짜 변환 함수 테스트 코드 작성build (Build, 빌드 관련 변경)build: Webpack 설정 최적화
build(deps): lodash 패키지 업데이트ci (Continuous Integration, CI 관련 변경)ci: GitHub Actions 캐싱 추가
ci(travis): Node.js 18 버전 추가 지원chore (Chore, 기타 변경 사항)chore: ESLint 규칙 수정
chore(deps): 패키지 종속성 업데이트revert (Revert, 이전 커밋 되돌리기)git revert 명령어와 함께 사용됩니다.revert: 잘못된 커밋을 되돌림
revert: feat(auth): 소셜 로그인 기능 제거BREAKING CHANGE (중대한 변경 사항)feat! 또는 fix!처럼 느낌표(!)를 추가하거나, 본문 또는 꼬리말에 BREAKING CHANGE: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feat!: 기존 인증 방식을 JWT에서 OAuth로 변경
BREAKING CHANGE: 사용자 인증 방식이 변경되었으며, 기존 JWT 토큰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습니다.| 타입 | 설명 |
|---|---|
feat | 새로운 기능 추가 |
fix | 버그 수정 |
docs | 문서 수정 (README, 주석 등) |
style | 코드 스타일 변경 (공백, 세미콜론 등) |
refactor | 코드 리팩토링 (기능 변경 없음) |
perf | 성능 개선 |
test | 테스트 코드 추가/수정 |
build | 빌드 관련 변경 |
ci | CI/CD 설정 변경 |
chore | 기타 유지보수 작업 (패키지 업데이트 등) |
revert | 이전 커밋 되돌리기 |
BREAKING CHANGE | 주요 변경 사항 포함 (기존 코드와 호환되지 않음) |
이 규칙을 따르면 체계적인 커밋 메시지 작성이 가능하며,
자동화 도구와 연동하여 버전 관리 및 배포 프로세스를 쉽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