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후손선택자★
기본형]
선택자A 선택자B -부모[공백]자식
[기본형]
선택자A > 선택자B
[기본형]
1. 선택자A + 선택자B
: 선택자A 바로 뒤에 있는 선택자B를 선택함.
만약 바로 아랫줄에 선택자B가 없으면 적용되지 않는다.
2. 선택자A ~ 선택자B
: 선택자A 뒤에 있는 선택자B를 선택함.
만약 동일한 태그가 여러개 있으면 다중 선택한다.
[기본형]
1. 선택자[속성]
: 선택된 태그 중 해당 속성을 가진 태그만 선택한다.
2. 선택자[속성=값]
: 선택한 태그 중 해당 속성과 값이 일치하는 태그를 선택한다.
[기본형]
- 선택자:first-of-type
: 부모태그안에 첫번째에 위치한 자식태그를 선택할 때 사용한다.
- 선택자:last-of-type
: 부모태그안에 마지막번째에 위치한 자시태그를 선택할 때 사용한다.
- 선택자:nth-of-type(수열)
: 부모태그안에 수열번째 위치한 자식태그를 선택할 때 사용한다.
수열의 의미는 구조선택자와 똑같다.
- 선택자:nth-last-of-type(수열)
: 부모태그안에 아래에서 수열번째 위치한 자식태그를 선택할 때 사용한다.
반응 선택자는 사용자에 행동에 따라 반응하여 css디자인을 바꿀 때 사용하는 선택자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마우스를 특정 태그 위에 올리거나 클릭했을때 상태를 말한다.
[기본형]
- 선택자:hover★
: 사용자의 마우스 커서가 위치한 태그를 선택한다.
- 선택자:active
: 사용자가 마우스로 클릭한 태그를 선택한다.
단, 클릭하고 있는 동안만 반응한다. 잘 사용x
[기본형]
- 선택자:checked
: 체크 상태의 input태그를 선택할때 사용한다.
- 선택자:focus
: 포커스 상태(무언가를 입력하거나 클릭할 수 있도록 요소가 활성화 된 상태)
태그를 선택할때 사용한다.
- 선택자:enabled
: 사용가능한(입력 가능한) 상태의 태그를 선택할 때 사용한다.
- 선택자:disabled
: 사용불가능한 상태의 태그를 선택할 때 사용한다.
[기본형]
- 선택자::first-letter
: 첫 번째 글자를 선택한다.
- 선택자::first-line
: 첫 번째 문장을 선택한다.
html코드에는 존재하지 않는 구조요소를 만들어 스타일을 부여하는 선택자이다.
html문서내에는 보이지 않지만 미리 정의한 위치에 가상의 요소를 넣어 표현할 수 있다.
가상요소 선택자로 만들어지는 가상요소들은 inline속성을 갖는다.
[기본형]
- 선택자::before
: 선택자의 앞에 가상요소를 생성한다. 필수 속성으로 content속성을 넣어 표현한다.
- 선택자::after
: 선태자의 뒤에 가상요소를 생성한다. 필수 속성으로 content속성을 넣어 표현한다.
[기본형]
선택자:not(제외시킬 요소)
: 태그를 다중 선택하는데 특정 요소는 제외하고 선택한다.
클래스와 아이디도 포함해서 제외시킬 수 있다.
부모태그안에 자식태그들이 동일한 태그로 구성되어 있을 때
특정 위치에 있는 자식태그만 선택할 때 사용한다.
[기본형]
- 선택자:first-child★
: 부모태그안에 동일한 태그 형제 중 첫 번째 위치한 태그만 선택한다.(첫째)
- 선택자:last-child★
: 부모태그안에 동일한 태그 형제 중 마지막번째에 위치한 태그만 선택한다.(막내)
- 선택자:nth-child(수열)★
: 부모태그안에 동일한 태그 형제 중 특정 순번째에 위치한 태그를 선택한다.
이때 수열 자리에 2를 쓰면 형제 중 두번째 위치에 있는 태그만 선택해준다.
수열자리에는 배수를 이용하여 특정 순번째에 잇는 태그들을 다중 선택할 수 있는데
2n을 쓰면 '짝수'라는 뜻이고 2n+1은 '홀수'를 뜻한다.
만약 3의 배수 위치에 있는 태그들을 선택하고 싶다면 3n이라고 쓴다.
- 선택자:nth-last-child(수열)
: 부모태그안에 동일한 태그 형제 중 특정 순번째에 위치한 태그를 선택한다.
단, last가 붙으면 밑에서 위로 순번을 센다. 마찬가지로 수열자리에는 숫자나
:nth-child(수식), :nth-of-type(수식) = :nth-of-type 키워드 동일
부모태그안에 형제 태그중 홀수번째나 짝수번째 형제를 선택하고싶다면
even(짝수), odd(홀수)키워드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요소 중 특정 범위의 자식요소들을 선택하고 싶다면
'n+숫자' 키워드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기본형]
:nth-child(even) : 짝수 번째 위치한 자식요소 선택
:nth-child(odd) : 홀수 번째 위치한 자식요소 선택
:nth-child(n+숫자) : 숫자 번째에 위치한 자식부터 막내까지 모두 선택
:nth-child(-n+숫자) : 숫자 번째에 위치한 자식부터 첫째까지 모두 선택
같은 스타일을 여러 요소에 적용할때 사용하는 선택자이다.
최근에 발표된 선택자로 같은 스타일을 여러 요소에 적용할때 간편하게
선언할 수 있다.
[기본형]
:is(선택자1, 선택자2, 선택자3...){}
[기본형]
선택자:has(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