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자: ||(또는)
형태: 불 || 불 -> 적어도 하나만 true면 전체가 true
true || true -> true
true || flase -> true
false || true -> true
flase || false -> flase
연산자: &&(그리고)
형태: 불 && 불 -> 양쪽 모든 값이 true여야 전체가 true
true || true -> true
true || flase -> flase
false || true -> flase
flase || false -> flase
ex1. true && true: true
ex2: false $$ true: false
ex3. flase || true: true
ex4. true | flase: 논리연산이 아니므로 논외
ex5. true || true: true
(1) 변수를 왼쪽에 쓰는 방식
(2) 비교 연산자가 오른쪽으로만 입을 벌리게 하는 방식(<)
*범위를 부등식으로 표현할 때는 논리 연산자를 함께 사용한다.
-3 <= x < 2 ----- true < 2 으로 전혀 다른 결과가 나옴(x)
-3 <= x && x < 2 (o)
x < 1 || 4 < x (o)
a <= x && x < b -- 닫힌 범위를 나타낼 때
x < a || b < x -- 열린 범위를 나타낼 때
어떠한 조건에 부정을 걸었을 때 부정연산자를 해소하면서 논리식을 바꾸는 법칙
!(12 <= 현재시 && 현재시 <= 13)
->부등식은 반대로
논리곱 논리합 교체
12 > 현재시 || 현재시 >13 (o)
현재시 < 12 || 13 < 현재시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