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가 통신하는 방법은 크게 직렬 통신/병렬 통신, 동기 통신/비동기통신으로 구분되는데요. 오늘은 동기 통신과 비동기 통신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출처 : https://khj93.tistory.com/entry/네트워크-Synchronous동기식-통신과-Asynchronous비동기식-통신이란
Synchronous : 동시 발생하는
동기 통신의 경우 뜻 처럼 요청과 응답이 동시에 일어난다는 뜻입니다.
여기에서 '동시에 발생한다'라는 것은 Request를 보내게 되면 시간이 얼마나 걸리든 그 자리에서 Response를 받는다는 의미입니다.
즉, '두 서버 사이의 Transaction을 맞추겠다.' 라는 뜻 입니다.
동기 통신의 가장 대표적인 것이 폼(Form) 제출입니다.
그렇다면 동기 통신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Asynchronous : 동시에 발생하지 않는
비동기 통신의 경우도 뜻 처럼 요청과 응답이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여기에서 '동시에 발생하지 않는다'라는 것은 Requset를 보냈지만 Response를 언제 받아도 상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동기 통신의 가장 대표적인 것은 제이쿼리의 AJAX입니다.
비동기 통신의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동기 통신의 장점이 비동기 통신의 단점이되고,
동기 통신의 단점이 비동기 통신의 장점이 됩니다.
Requset를 보낸 Thread는 Response가 도착하기 전까지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상태를 Block상태라고 합니다.
Requset를 보내고 Response를 기다리지 않고 다른 일을 하는 상태를 Non-Block상태라고 합니다.
송수신 시스템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처리를 실현해 주는 작업을 의미힙나다.
대표적인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으로는 1.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과 2.인터페이스 엔티티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구현이 있습니다.
XML은 특수한 목적을 갖는 마크업 언어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다목적 마크업 언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