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까지의 과정은 https://velog.io/@pp2lycee/series/NodeJsExpress-%ED%8A%9C%ED%86%A0%EB%A6%AC%EC%96%BC
에 담겨있습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우리의 백엔드를 만들어 봅시다.
우선 여기서 controllers, models, routes 폴더를 만들어 줍시다.
다음 루트에 index.js를 파일을 만들어줍니다. 위 사진을 참고해주세요.
package.json 파일도 만들어주세요.
이 파일을 그대로 복사해서 npm install 하셔도 되지만 사실 지금 당장 필요한건 express입니다.
npm install express 해주세요.
이제 모델을 만들어봅시다.
models 폴더로 가서 모델이름.js 파일을 만듭니다.
model.js 파일에서는 아래 사진과 같이 적어주세요.
스키마 안에 있는 옵션들이 여럿 있습니다.
type은 열의 type을 의미합니다.
required는 필수 항목이라는 뜻입니다.
descripton은 만약 해당 열(필드)에서 오류가 났을때의 메시지입니다.
이제 실제 로직을 구현하는 함수를 만들어봅시다. Django로 따지면 views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controllers 폴더 안에 form.js 파일을 만들어 봅시다.
모델.find하시면 됩니다. findById에서 들어가는 id는 Mongoose에서 자동으로 생성되는 _id입니다.
다른 요청들도 이렇게 만들어주시면 됩니다. 마지막에 module.exports로 해당 함수들을 모두 export해주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라우팅을 해주어야 합니다. routes 폴더에 form.js를 만들고 다음과 같이 적어주세요.
아까 controllers에서 가져온 함수들을 import(require)해줍니다.
router.get("가져오는 url", 함수)
중간에 넣어지는 추가 함수는 미들웨어라고 하는 건데 지금은 신경쓸 필요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라우팅을 기본 파일로 import 해주어야 합니다.
scripts:{
"start":"node index"
}
이런 식으로 적어주세요
이제 터미널에 npm run start 명령어로 서버를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