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으로 트랜지스터는 증폭영역에서 사용
- MOS의 경우, Saturation mode에서, BJT의 경우, Active mode에서 사용
- But, PCB에서 동작할 경우에는 Switch로 사용됨
실습을 위해 OrCAD PSpice 17.2 Lite version을 사용
1.회로해석 이론
전류(Current)
- 전하의 이론 또는 흐름, 단위시간 (1초)당 이동한 전하량
- I = 단위 [A] => 1초당 1C의 전하가 통과하는 것
- ΔQ = 통과한 전하량 [C]
- Δt = 변화한 시간 [s]
I=ΔtΔQ[A]=tQ
반송자(Carrier)
- Hole(가상적인 반송자), Electron(실질적인 반송자)
- 전위: 전하의 위치E -> 위치에너지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 전위차(V): 두 전위간의 차이 -> 전압이 발생(상대적)
- 전압의 표기: VAB−>VA−VB -> VA는 A와 Gnd간의 전압차

- Branch: Source나 Resistor와 같은 부품을 의미
- Node: 부품과 부품이 만나는 위치
- 일반적으로 전압원의 - 단자를 기준점(기준 Node)으로 잡음
-> 회로해석: 각 Node에 걸리는 전압을 구하는 것 -> 이를 통해 전류도 알 수 있다.
-> 즉, 회로해석이란 모든 Node에 걸리는 전압과 Branch로 흐르는 전류를 구하는 것이다.
전원
- 회로에서 전압차가 발생하도록 하는 요소(Gnd로 빠진 전류를 다시 전원만큼의 전위차를 가지게 끌어올림)
- P=tW[J/Sec]
Ohm's Law
V=IR
- 전류는 고전위에서 저전위로 흐른다.
- 따라서,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저항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의 극성이 달라짐
- 이는, 전류가 들어가는 방향이 +극성, 나가는 방향이 -극성입을 의미
I=RV
- 저항을 두고, 전압 차가 발생.
- 전압 차이가 발생했기 때문에 전류가 발생
-이때, 전류는 높은 전압에서 낮은 전압으로 전류가 흐름
R=IV
- 회로내에 전압차가 발생하면 전류가 흐름 -> 전압차가 발생한 두 Node 사이를 저항으로 볼 수 있다.


직렬과 병렬
직렬

- Node에 흐르는 전류는 같지만, 전압은 달라진다.
- 직렬 저항의 계산은 단순 덧셈
- Rtotal=R1+R2
병렬

- Node에 흐르는 전압은 같지만, 전류값은 달라진다.
- 병렬 저항의 계산은 저항의 역수를 더한 다음 역수를 취함
- Rtotal=R11+R211
- 저항의 차이가 클 경우, 가장 작은 적항의 값과 총저항의 값이 유사함
- 같은 저항 n개가 병렬 연결되는 경우, 총 저항은 R/n 값이 나옴
인덕터와 커페시터
-
인덕터의 경우, 저항과 계산방식이 같음

-
커페시터의 경우, 커페시터가 직렬인 경우, 저항의 병렬처럼 계산하며, 커페시터가 병렬인 경우, 저항의 직렬처럼 계산한다.
Power
- P=IV
- Power를 사용하면 필연적으로 열발생이 동반됨
- 이때, 발생하는 열을 저항이 어느 정도 견딜 수 있나를 나타내는 것이 정격 전력(Rated Power)이다.
- 정격 전력(Rated Power)이상의 전력이 인가될 경우, 저항이 파괴됨
-> 회로의 동작에 심각한 영향
-> 저항의 파라미터 중에 가장 민감한 요소
저항을 직,병렬 연결하는 이유
- 표준 저항값에 없는 값을 직,병렬로 만드는 회로는 실무적이지 못한 회로
- 현업에서는 여러 저항을 혼용하지 않고 한 종류의 소자를 사용하며, 해당 소자가 견딜 수 없는 정격 전력 이상의 Power가 사용되는 경우, 직,병렬로 연결하여 같은 저항에 더 높은 정격저항을 가지는 소자를 만들어줌.
휘스톤 브릿지
- R1=R2이고, R3=R4인 경우, 가운데 R5저항에 전류와 전압이 걸리지 않음
- But, R1=R2이고, R3=R4인 경우, 가운데 저항 R5에 전압이 걸림
-> 저항의 변화를 전압의 변화 형태로 바꿔서 나타낼 수 있음.
-> 전압이 측정하기 용이함 -> 작은 Voltage값의 경우, 증폭기를 이용하여 Voltage를 증폭하여 측정
전원(Source)
- 회로에 Power 공급
- P=IV
잔압원
- 이상적인 전압원의 내부 저항은 0Ω
- 일정한 전압을 공급
전류원
- 이상적인 전압원의 내부 저항은 ∞Ω
- 일정한 전류를 공급
키르히호프의 법칙
- 제 1법칙: 한 노드에 입력되는 전류의 합은 해당 노드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합과 같다.
- 제 2법칙: 폐루프 내에 Node에 인가되는 모든 전압의 합은 인가된 Source의 합과 같다.
부하효과가 최소하여 전압, 전류를 전달하기 위한 조건
- Source가 전압원이 경우
-> 입력 전압은 ∞, 출력 저항은 0에 가까울수록 좋음
- Source가 전류원인 경우
-> 입력 전압은 0, 출력 저항은 ∞에 가까울수록 좋음
PSpice를 이용한 검증


Power의 경우, 공급한 Power가 -이며, 소비한 Power를 +로 표기
중첩의 원리
- 둘이상의 전원이 회로에 포함된 경우, 출력에 영향을 주는 전원 중 한개의 전원을 뺴고 모두 OFF한 후, 하나의 입력에 대한 출력값을 구한 후, 출력값을 모두 더한다
- V source의 경우, short시켜서 OFF
- I Source의 경우, open시켜서 O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