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계층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을 여러 계층으로 나누어 구성하는 설계 패턴입니다.

이 아키텍처는 시스템의 복잡성을 줄이고,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N계층 아키텍처는 특정 기능별로 계층을 나누어 각 계층이 독립적으로 개발, 관리,
테스트될 수 있도록 합니다.

N계층 아키텍처의 기본 개념

계층의 정의

계층은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구조적 부분으로, 각 계층은 특정 역할과 책임을 가지며
다른 계층과 협력하여 시스템 전체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계층 간의 상호작용은 주로 위계적이며,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의 기능을 호출하고, 하위 계층은 상위 계층의 요청을 처리합니다.

주요 계층

N계층 아키텍처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계층으로 구성됩니다:

  • 프레젠테이션 계층 (Presentation Layer):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며, 사용자의 요청을 수집하고 응답을 표시합니다.

이 계층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HTML 페이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의 UI 등입니다.

  • 애플리케이션 계층 (Application Layer):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며,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고, 비즈니스 규칙을 적용합니다.

이 계층은 서비스, 비즈니스 로직, 그리고 애플리케이션의 작업 흐름을 관리합니다.

  • 도메인 계층 (Domain Layer): 비즈니스 도메인과 관련된 개념을 정의하고, 도메인 객체와 도메인 로직을 포함합니다. 이 계층은 비즈니스의 핵심 로직과 규칙을 담고 있으며, 도메인 모델을 구현합니다.

  • 데이터 액세스 계층 (Data Access Layer):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며, 데이터의 저장, 검색, 업데이트를 처리합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베이스 쿼리와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관리합니다.

  • 영속성 계층 (Persistence Layer):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을 담당하며, 데이터의 저장과 조회를 수행합니다.
    영속성 계층은 보통 ORM(Object-Relational Mapping)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을 관리합니다.

N계층 아키텍처의 장점

  • 모듈화: 각 계층이 독립적으로 설계되고 관리되므로, 시스템의 모듈화가 잘 이루어집니다.
    이를 통해 각 계층의 변경이 다른 계층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유지보수성: 기능별로 계층이 나누어져 있기 때문에, 특정 계층만 변경하거나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입니다.

  • 확장성: 새로운 기능 추가 시, 해당 기능에 맞는 계층을 추가하거나 기존 계층을 수정하여 확장할 수 있습니다.

  • 테스트 용이성: 각 계층이 독립적으로 테스트될 수 있어, 시스템 전체의 테스트가 아닌 개별 계층의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 재사용성: 특정 계층의 로직은 여러 애플리케이션에서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액세스 계층은 여러 애플리케이션에서 공유될 수 있습니다.

N계층 아키텍처의 단점

  • 복잡성: 계층이 많아질수록 시스템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성능 저하: 각 계층 간의 호출이 많아질 수 있어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 액세스 계층과 프레젠테이션 계층 간의 호출이 빈번할 경우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계층 간 의존성: 계층 간의 의존성이 관리되지 않으면, 계층 간의 의존성이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잘 정의된 인터페이스와 의존성 주입이 필요합니다.

결론

N계층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구조를 명확히 하고, 각 계층의 역할을 분리하여 모듈화된 설계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를 통해 유지보수성과 확장성, 테스트 용이성을 높일 수 있지만, 계층 간 의존성 관리와
성능 고려가 필요합니다.
잘 설계된 N계층 아키텍처는 복잡한 시스템을 관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
꾸준히, 의미있는 사이드 프로젝트 경험과 문제해결 과정을 기록하기 위한 공간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