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약수와 소수의 정의에 대해 알아 보고
그 다음에 파이썬을 어떻게 이용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의 약수를 출력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약수 : 어떤 수를 나누어 떨어지게 하는 수 (나머지 없이!)
소수 : 1과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수 (단, 1은 제외)
파이썬으로 표현하면?
inputNumber = int(input("0보다 큰 정수 입력: "))
for number in range(1, (inputNumber + 1)):
if inputNumber % number == 0:
print('{}의 약수: {}'.format(inputNumber , number))
입니다.
예를 들어, "0보다 큰 정수 입력" 자리에 30을 넣으면
30의 약수는 1,2,3,5,6,10,15,30이 나올 것입니다.
그리고 파이썬을 이용해서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까지의 소수를 출력해봅시다.
이 경우
for number in range(2, (inputNumber + 1)):
flag = True
for n in range(2, number):
if number % n == 0::
flag = False
break
if (flag):
print('{} : 소수!'.format(number))
else:
print('{} : 합성수!!'.format(number))
가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10을 입력하면
2,3,5,7은 소수가 될 것이고 '소수!!' 이렇게 표현 될 것입니다.
4,6,8,9,10 은 합성수가 될 것이고 '합성수!!' 이렇게 표현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