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에서 처음으로 객체지향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그동안 객체지향에 대해서 포스팅을 쓰지 않았던 이유는 내가 함부로 다룰 수 없는 주제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오늘 인프콘 2023 에 참여했는데 거기서 "과거의 흔적을 보고 이불킥 한다는건 내가 그만큼 성장했다는 증거다" 라는 말을 들었고, 완벽하지 못할지도 모르는 객체지향 관련 포스팅을 작성해...
저번 포스팅에서 우리는 타입계층에 대해서 이해했고, 타입계층을 이용해 다형성을 구현하는 방법까지 살펴봤다. > https://velog.io/@slolee/객체지향에서-타입계층이-중요한-이유 위 포스팅에서 중요하게 말했던 내용은, 상속과 인터페이스는 타입계층을 만들어내기 위한 도구이고 이러한 타입계층은 다형성을 구현하는데 문법적 기반이 된다는 것이었다. ...
들어가기 전에 앞서 IoC & DI(Inversion of Control & Dependency Injection) 에 대한 오해를 조금 풀어보려고한다. 우리는 Spring Boot 를 처음 공부하면서 자연스럽게 Spring 의 3대 특징 중 하나인 IoC & DI 에 대해서 공부한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IoC & DI 가 Spring 에서 제공해주는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