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HTML
- html은 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이고, 웹 페이지를 위한 마크업 언어이다.
(마크업 언어: 태그 등을 이용하여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명기하는 언어의 한 가지)
2. CSS
- css는 Cascading Style Sheets의 약자로, 웹 사이트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들을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
3. Backend
- 백엔드는 웹 사이트나 앱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부분을 말한다. 즉 데이터베이스나 서버를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4. Frontend
- 프론트엔드란 웹사이트나 앱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는 분야를 말한다.
5. DataBase
- 데이터베이스란 여러 사람이 공유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체계화해 통합하고 관리하는 데이터의 집합이다.
6. SQL
- 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7. 버그(Bug)
- 버그란 오류가 발생하거나 오작동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뜻한다.
8. 에러(Error)
- 에러란 컴퓨터 처리 시에 예상하지 못한 결과 또는 적절한 결과를 얻지 못하여 발생한 경우를 말한다.
9. 클라이언트
- 클라이언트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라는 다른 컴퓨터 시스템 상의 원격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말한다.
10. API
-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에서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 또는 서비스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기술을 뜻한다.
11. 예외처리
- 예외처리란 프로그램 실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예외에 대비하는 것으로 프로그램 비정상종료를 막고 실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12. 라이브러리(Library)
- 라이브러리란 어떤 특정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미리 만들어진 함수들의 집합이며 필요할 때만 자유롭게 꺼내서 사용할 수 있는 일종의 도구이다.
13. 프레임워크(Framework)
- 프레임워크란 어떤 개발이나 소프트웨어의 일종의 규칙을 정하는 일을 말한다. 제공받은 일정한 요소와 틀, 규약을 가지고 무언가를 만드는 일이다.
14. 컴파일(Compile)
- 컴파일이란 사람이 이해하는 언어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꿔주는 과정을 뜻한다. 원시코드(우리가 작성한 코드)에서 목적코드(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한 코드)로 바꾸어 주는 것이 컴파일이다.
15. 인터프리터(Interpreter)
- 인터프리터는 고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한 줄 단위로 받아들여 번역하고, 번역과 동시에 프로그램을 한 줄 단위로 즉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16. JSON
- JSON은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약자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송할 때 많이 사용되는 경량의 DATA 교환 형식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