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트리는 그래프에서 모든 노드를 포함하면서 사이클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 그래프를 의미합니다.
모든 노드가 포함되어 서로 연결되면서 사이클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조건은 트리의 조건이기도 합니다.
최소한의 비용으로 구성되는 신장 트리를 찾아야 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N개의 도시가 존재한다고 가정할 때 두 도시 사이에 도로를 놓아 전체 도시가 연결될 수 있게 도로를 설치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즉, 두 도시 A,B를 선택했을 때 A에서 B로 이동하는 경로가 반드시 존재하도록 도로를 설치합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바로 크루스칼 알고리즘입니다.
크루스칼 알고리즘은 대표적인 최소 신장 트리 알고리즘이며, 그리디 알고리즘으로 분류됩니다.
[초기 단계] 그래프의 모든 간선 정보에 대하여 오름차순 정렬을 수행합니다.
[Step 1] 아직 처리하지 않은 간선 중에서 가장 짧은 간선인 (3,4)를 선택하여 처리합니다.
[Step 2] 아직 처리하지 않은 간선 중 가장 짧은 간선인 (4,7)을 선택하여 처리합니다.
[Step 3] 아직 처리하지 않은 간선 중 가장 짧은 간선인 (4,6)을 선택하여 처리합니다.
[Step 4] 아직 처리하지 않은 간선 중 가장 짧은 간선인 (6,7)을 선택하여 처리합니다.
6번 노드와 7번 노드는 이미 같은 집합에 속해있으므로 간선을 포함한다면 사이클이 생깁니다. 따라서 해당 간선은 무시하고 넘어갑니다.
[Step 5] 아직 처리하지 않은 간선 중 가장 짧은 간선인 (1,2)을 선택하여 처리합니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게 됩니다.
결과로 얻은 최소 신장 트리에 포함되어있는 간선의 비용을 모두 더하면, 그 값이 최종 비용에 해당합니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v,e = map(int,input().split())
parent = [i for i in range(v+1)]
graph=[]
result = 0
for _ in range(e):
a,b,c = map(int,input().split())
graph.append((c,a,b))
# 비용 순으로 정렬
graph.sort()
# 특정 원소가 속한 집합을 찾을 때까지
def find_parent(parent,x):
if parent[x] != x:
parent[x] = find_parent(parent,parent[x])
return parent[x]
# 두 노드가 속한 집합 합치기
def union_parent(parent,a,b):
a = find_parent(parent,a)
b = find_parent(parent,b)
if a<b:
parent[b] = a
else:
parent[a] = b
for i in graph:
cost,a,b = i
# 사이클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만 집합에 포함
if find_parent(parent,a)!=find_parent(parent,b):
union_parent(parent,a,b)
result += cost
print(result)
크루스칼 알고리즘은 간선의 개수가 E개일 때, O(ElogE)의 시간 복잡도를 가집니다.
크루스칼 알고리즘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요구하는 곳은 간선을 정렬하는 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