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들의 소스 코드를 묶어 놓은 함수(function)에 대해서 정리해 본다.
함수를 선언하는 방식은 함수 선언식(function Declarations)과 함수 표현식(Function Expressions)이 있다.
'function'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하여 함수를 선언하는 방식이다.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함수명으로 호출한다.
<script> function 함수명() { ~logic~ } 함수명(); // 함수를 사용하기 위한 호출 방법 </script>
함수를 변수와 같이 선언하는 방식이다.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변수명으로 호출한다.
<script> const a = function() { ~logic~ } </script>
함수 선언식은 호이스팅 영향을 받지만,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함수 선언식은 함수가 선언되기 전에 호출되더라도 정상적으로 코드가 실행되는 것이다.
<script>
test(); // 정상적으로 실행, 12345출력
function test() { document.write(12345); }
</script>
<script>
test(); // Error
const test = function() { document.write(12345); }
</script>
예를 들어 두 수를 더하는 함수를 사용하고자 할 때,
<script>
function sum() {
document.write(3+5);
}
sum(); // 8 출력
</script>
sum
함수를 호출하면 결과는 언제나 8이 출력되는 것이다. 이 함수는 재사용성이 낮다. 따라서 숫자를 더한다는 함수의 기본 로직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함수 안에 들어갈 숫자만 바꿔서 재사용성을 높이기 위해 함수의 매개변수와 인수를 사용한다.
<script>
function sum(a, b) { // 매개변수: 함수 재사용을 위한 값 a,b가 필요함을 지정
document.write(a+b); // 매개변수가 각각 함수 내에서 어떻게 실행되는지 작성
}
sum(1, 2);
// 인수: 함수 호출 시 괄호 안에 매개변수의 할당값으로 넘겨준 값 1, 2
// '1+2'의 값인 3이 출력된다.
</script>
인수 안에 원하는 숫자를 넣어 계속해서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
ES6에서는 매개변수의 기본값을 지정하는 기능도 생겼다.
<script>
function multisum(a, b=1, c=2) {
document.write(a+b+c);
}
multisum(1, 2, 3) //a=1, b=2, c=3
multisum(1, 2) // a=1, b=2, c=2(기본값)
multisum(5) // a=5, b=1(기본값), c=2(기본값)
</script>
함수를 실행한 후 그 결과값을 함수 밖으로 넘기는 것을 '함숫값을 반환한다(return).'고 한다. 반환 위치는 함수를 호출한 위치이다. 함수 내에서 도출된 결과값을 직접 노출하지 않고 다른 함수에 적용하거나 다른 곳에 표시해야 할 경우 사용한다.
<script>
let result = add(1, 3); // 인수 1, 3을 가지고 add 함수 호출
alert(`두 수를 더한 값은 ${result} 입니다.`)
function add(a, b) {
let sum = a + b; // 인수 1은 a, 3은 b 변수로 넘겨지고 두 값을 더해 sum 변수에 저장
return sum; // 결과값을 result에 반환하여 저장
}
</script>
return문은 간단한 식일 경우 변수 없이 직접 return을 이용하여 식을 반환하는 소스를 작성 할 수 있다.
<script>
function add(a, b) {
return a + b; // a와 b를 더한 값을 저장한 후 반환한다.
}
</script>
자바스크립트에서 선언된 변수는 스크립트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적용 범위(scope)가 있다. 따라서 변수를 사용할 때는 이 것에 유념해야 한다.
함수 안에서 선언하고 함수 안에서만 사용한다.
<script>
function test() {
let age = 30; // 지역변수
}
console.log(age);
</script>
출력 시 오류가 발생한다. 콘솔에 출력하고자 한 변수가 test()
함수 내에서만 유효한 지역 변수이기 때문이다.
스크립트 소스 전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변수이다.
<script>
let age = 80; // 전역변수
function test() {
let age = 30; // 지역변수
}
console.log(age);
</script>
출력 시 전역변수 인 80이 출력 된다.
ES6에 추가된 변수이다. 블록 변수는 변수를 선언한 블록({}) 안에서만 유효하며, let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하여 만들 수 있다.
<script>
function test(a, b) {
let local = a + b;
if(b > 3) {
let block = b + a;
}
console.log(local); // 지역변수가 함수 안에서 사용되어 실행됨
console.log(block); // 블록변수가 블록 외에서 사용되어 실행 안 됨
}
</script>
함수 선언을 조금 더 간단하게 작성하는 방법으로 주로 익명함수(anomymous function)에 사용 된다. function, return 등의 예약어가 생략 된다.
<script> const variable = function(parameters) { return body } // return 필요 const variable = (parameters) => body // return 불필요하나 코드가 긴 경우 중괄호({})와 return 필요 </script>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같은 함수를 다르게 작성 할 수 있다.
<script>
const sum = function(a, b) { return a + b; } // basic function
const sum = (a, b) => a + b; // arrow function
</script>
함수의 선언과 동시에 호출하는 함수로 기존 함수에 괄호를 사용하여 사용한다. 아래 예시와 같이 괄호의 위치만 약간 바꾼 두 가지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다.
<script>
(function(name) {return `${name}님, 안녕하세요.`}(smy)); // 'smy님, 안녕하세요.' 출력
(fuction(a, b){return a + b})(1, 2); // '3' 출력
</script>
즉시실행함수는 변수를 전역 변수로 선언하지 않고 초기화 하여 코드의 충돌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라고 하는데... 나에겐 조금 어려운 개념이라 조금 더 공부를 해야겠다ㅠㅠ
즉시실행함수는 어느 상황에 써야할지를 잘 알아야할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