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GL with Unity(2)_server

Subin·2023년 1월 25일
0

STUDY | WebGL

목록 보기
2/2

검색창에 terminal을 검색하여 실행하면 Window PowerShell이 띄워진다.
해당 창에서 현재 제작 중인 Webgame 폴더로 들어가고, 앞서 Build과정에서 만든 Build 폴더도 들어간다.

ls 명령어를 통해 파일 목록을 확인할 수 있고, cd 명령어를 통해 폴더 내로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Node.js를 설치한다.


23.02.02


해당 폴더에서 node.js 버전을 확인해주고,

npm install -g http-server

명령어를 통해 전역에 http-server를 설치해준다.


강의에서는 http-server만 입력하라 했지만, 오류가 나서 찾아보니

npx http-server

를 입력해서 서버를 활성화하라더라.
(위 사진에서도 보이듯이 뭔가 실패한 부분이 많은 것 같은데..)

그리고 브라우저에서 localhost:8080을 입력하면..

ㅎㅎ..역시나.. 오류가...
오류 해결부터 다시 해봐야겠다..^-^..


23.02.09

아직 오류해결은 되지 않았지만 (Gzip 압축 해제가 문제인 것 같다..) 우선 강의진도를 먼저 나갔다.

참고>
google에 node http server 라고 검색하면 다양한 설정방법을 공부해 볼 수 있다고 한다.
https://www.npmjs.com/package/http-server
.
(run local server command line 이라고 검색해도 좋다.)


> npm install -g ngrok

을 터미널에 입력해서 ngrok을 설치한다.

그리고

> npx ngrok

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출력되는데

위 빨간 박스의 내용처럼 다시

> npx ngrok http 80 

을 입력한다.

그럼 이러한 출력내용을 볼 수 있다!
이제 다른 사람에게 localhost:8080 이 아닌,

(왜냐면 다른 사람들 브라우저에서는 localhost:8080이 작동하지 않기 때문)

http://8e84-61-101-123-244.ngrok.io
를 전달하여 프로젝트를 띄울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https://simmer.io/upload 사이트를 이용하여 파일을 업로드하면 웹 상에서 WebGL 게임을 손쉽게 공유할 수 있다.


다음 시간엔 javascript console을 이용하여 WebGL Build를 디버깅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해보려 한다.

콘솔을 이용해 디버깅 하는 방법은 그냥 페이지 내 개발자 도구(Ctrl+Shift+I)를 통해 오류를 확인하고 구글링 하는 거였다.. ㅎㅎ

profile
성장하며 꿈꾸는 삶을 살아가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