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장 깃허브로 협업하기
5-1 서로 다른 컴퓨터에서 원격 저장소 함께 사용하기
- 원격 저장소 복제하기 - git clone
- clone: 원격 저장소를 지역 저장소로 똑같이 가져오는 것


- 집에 있는 컴퓨터에서 작업하고 올리기
- 집 컴퓨터 커밋을 원격 저장소로 푸시: git push
- 회사 컴퓨터에서 내려받아 작업하기
- 원격 저장소에 새로 올라온 커밋을 가져오기: git pull
지역 저장소마다 원격 저장소 git clone -> (저장소1) git commit -> git push
-> (저장소2) git pull -> git commit -> git push -> 반복...
5-2 원격 브랜치 정보 가져오기
- 커밋과 브랜치 이해하기
<git_home>

- HEAD -> main: 지역 저장소의 최종 커밋
origin/main, origin/HEAD: 원격 저장소의 최종 커밋
; git push로 지역 저장소의 커밋을 원격으로 푸시(git status로 확인 가능)
- 원격 브랜치 정보 가져오기 - git fetch
<git_office>
1) git fetch: 원격 저장소에서 변경된 내용을 확인한 후, 가져올 수 있다.(git pull과 다름)
2) git log, git status로 확인: 아직 원격 저장소의 최종 내용을 git_office 지역 저장소에 합치지 않은 상태, 기존 git_office의 최신 커밋만 나타난다.

3) git diff: fetch로 가져온 커밋 정보 확인하기 | git diff HEAD origin/main
4) git merge origin/main: 원격 저장소에서 가져온 커밋을 합치기
5-3 협업의 기본 알아보기
- 협업 시에, 팀원들은 각자 브랜치를 만들어서 작업 후에 병합
- 협업을 위한 저장소를 만든다.
- 팀원을 추가한다.
- 브랜치별로 커밋하고 푸시한다. (clone -> pull -> commit -> push -> 반복)
- pull request(PR)를 요청한다.(main 브랜치에 병합해 달라고 요청)
- 코드 리뷰 & 브랜치 병합
5-4 원격 저장소에서 협업하기
- 협업을 위한 저장소 만들기
- 공동 작업자 추가하기
- 프로젝트 관리하기 - 팀장 | project, issue
- 브랜치 만들기 - 팀원
- 지역 저장소에서 작업하고 푸시하기 | git clone -> git switch (branch) -> branch에서 작업 -> git push
- 풀 리퀘스트 요청하기

- 풀 리퀘스트 검토하고 브랜치 병합하기 - 팀장/리뷰어

6장 깃허브에서 다른 사람과 소통하기
6-1 깃허브 프로필 관리하기
https://github.com/gitchlthdud
6-2 README 파일 작성하면서 마크다운 익히기
https://github.com/gitchlthdud/project/blob/main/README.md
6-3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기
Contribution도 도전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