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va 에서 변수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할당된 메모리 공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데이터 타입이란 변수에 적재할 데이터가 메모리에서 어떻게 저장되고 프로그램에서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키워드를 뜻한다. 데이터 타입은 크게 기본형과 참조형으로 나눌 수 있
리다이렉션(Redirection)이란? 말 그대로 방향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 본래 표준 입력이란 키보드로 직접 받아오고 표준 출력은 이를 화면에 그대로 출력되는 것을 말하는데, 키보드로 표준 입력을 받거나 화면으로 표준 출력을 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의 마음대로
제네릭이란? 클래스 내부에서 사용할 데이터 타입을 외부에서 지정하는 기법이다. 다양한 타입을 유연하게 받아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주로 사용하며 대표적인 예시가 자바의 List 의 경우이다. (꺽쇠) 표시 안에 타입을 지정하여 호출 시에 어떤 타입을 넣을 건지

대부분의 중요한 정보들은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한다클라이언트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저장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다커넥션 연결: 주로 TCP/IP를 사용해서 커넥션을 연결한다.SQL 전달:

이펙티브 자바에서는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얻는 방법으로 생상자 방식의 대안으로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추천하며그에 대한 장점으로 5가지를 꼽는다.이름을 가질 수 있다는 점생성자를 이용한 방식은 호출하는 입장에서 어떤 특성을 가지는 지 파악하기 쉽지 않다.8페이지의 BigI
과거, 객체의 필드값으로 컬렉션 타입이 포함될 때 반드시 초기화를 해야 NPE(NullPointerException)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아래의 Q&A 예시처럼, 질문과 답변 간의 관계에서는 질문이 존재해도 답변이 없을 수 있다.가령 답변이 아직 등록되지
정적 팩토리 메서드가 생성자 방식의 단점을 상당 부분 보완해주긴 하지만 둘의 공통적인 제약은결국 둘 다 매개변수가 많을 때 대응하기 어렵다는 점이다.이에 따라 새로운 대안들이 발굴되기 시작.점층적 생성자 패턴필수 매개변수만 받는 생성자 , 필수 선택 각각 하나의 매개변
Rest API 구현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도중컨트롤러에서 클라이언트에게 Page 그대로 반환하는 경우도 있고,페이지네이션 메타데이터를 추출하여 공통 스펙에 따로 넣어 반환하는 케이스도 있다는 것을 알았다.두 가지 방식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정리하고 넘어가야 할 필요성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 응답값을 반환할 때, 크게 두 가지 부류로 나뉘는 것 같았다.ResponseEntity를 사용공통 응답 포맷을 따로 만들어 사용각 방식의 차이와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느껴 이것저것 찾아보았다.상태 코드와 헤더를 활용하여 HTT
스프링에서 DB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보통 save() 이나 saveAll() 를 주로 사용한다.saveAll() 은 단순히 save() 를 여러번 반복하는 것 뿐한번에 여러 데이터를 처리하는 게 아니다.많은 데이터를 저장해야하는 상황에서 위 메서드를 사용하게 되면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