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nt('text' or number1, number2, cep='text', end='text')
기본적으로 text나 number를 출력해준다.
a = [input('text').split('text')]
둘은 주로 같이 쓰이는데 input은 입력값을 받고(text는 입력받을 때 출력되는 내용)
split은 text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누어준다. 출력할 때 사용하면 개행되어 한 줄에 하나씩 출력.
a = 1.245
a = int(a) #a는 1
a = float(a) # a는 1.0
a = str(a) # a는 '1'
a = [1, 2, 3] # 중괄호는 조합, 대괄호([])는 리스트, 소괄호('()')는 튜플 또는 딕셔너리
a = set(a) # a는 {1, 2, 3}
a = [1, 2, 3]
a = sum(str, a)# a는 ['1', '2', '3']
1 == 1.0
true
1 is 1.0
flase
1 is not 1.0
true
왜 이런 결과가 나올까
1과 1.0은 수학적 값 자체는 같(==)지만
is 와 is not은 그 객체 자체를 보기 때문에
정수 객체 1과 실수 객체 1.0을 다르게 보기 때문이다.
자료형과 값 모두를 비교하고 싶다면 is 또는 is not을 쓰길 바란다.
정확히 말하면 해당 객체를 가지는 메모리 주소를 비교하므로
변수에 값을 넣어 비교한다면 값이 같더라도 is가 false일 수 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