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부터 교보정보통신 프로젝트에 직접적으로 참여한다!
그냥 개발 시작한다는 뜻~😊
오늘 하루동안 내가 해야하는 일은 EC2 인스턴스랑 RDS 인스턴스 생성해서 연결해주기!ㅎㅎ
평소에 해봤던거라서 쉽게 했다!!
이번에는 기록을 해보려고 적는 중~
그래도 블로그니까 EC2에 대해서 각각 먼저 알아보자!
AWS(Amazon Web Services)클라우드에서 온디맨드 확장 가능 컴퓨팅 용량을 제공한다.
하드웨어 비용을 절감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더욱 빠르게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활용하여 원하는 수의 가상 서버를 구축하고 보안 및 네트워킹을 구성하며 스토리지를 관리할 수 있다.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AWS에서 비용, 성능, 용량 면에서 탄력적인 클라우드 컴퓨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그럼 실제로 AWS에서 EC2 인스턴스를 생성해보자.
AWS Console > EC2 검색 및 클릭
Region을 서울로 설정
(지금 안한거 알고 다시 하는 중...)
아래 처럼 인스턴스의 이름을 지정해준다!
나 같은 경우에는 항상 우분투 서버를 주로 사용해왔어서 그냥 우분투 서버
로 설정해주었다!
이건 교보정보통신에서 t2.micro
로 설정하라고 지정해주어서 이걸로 했다.
아래와 같이 키 페어를 생성해주었다.
키페어 유형 2가지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ED25519는 안전성, 속도, 구현의 용이성 등의 측면에서 RSA보다 더 우수한 암호화 알고리즘이지만, 키의 크기가 작다는 점에서 보안성 측면에서 일부 우려가 있을 수 있다.
설명만 보면 ED25519가 처리속도도 빠르고 가벼워보이지만, 기존에 RSA 기반의 키페어를 사용했어서 안전하게 RSA로 적용하였다..!
VPC설정이나 서브넷 설정은 팀원들, 교보정보통신 측과 상의 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같아서 default값으로 남겨두었다.
그 외에 ssh, HTTP(80), HTTP(443) 포트를 열어두었다.
프리티어 기준으로 최대 30GB까지 설정해줄 수 있는데, 교보정보통신에서 받아온 데이터파일의 용량이 크다고 판단하여 30GB로 설정해주었다.
오른쪽 아래에 인스턴스 생성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인스턴스 생성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게시글에서는 RDS 생성하는 과정을 적어보겠습니다~!
더 간단!👍👍
참고 자료
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concepts.html
https://velog.io/@server30sopt/AWS-EC2-%EA%B0%9C%EB%85%90-%EC%A0%95%EB%A6%AC
https://goddaehee.tistory.com/328
https://naleejang.tistory.com/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