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isk /dev/sdc
d
mkdir (make directory)
cat /etc/passwd | grep test
사용자 계정 정보가 담긴 파일 중에서 test라는 문자열을 포함한 리스트를 출력해라
보기 위해서는 -a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ls -a
키교환은 현재 사용자가 누구냐에 따라 설정되기 때문에 현재 사용자를 확인한다 - whoami
클라이언트 사용자와 원격사용자 연결이 되어야함
키복사
ssh-copy-id 원격지사용자@서버ip
ssh-copy-id root@192.168.111.200
※ 당연하게도 ssh 접근이 활성화된 상태여야만 사용이 가능하다!
- client(host)에서 키 생성
- 이때 키는 비밀키, 공개키가 생성되는데 비밀키는 client만 가지고 있는 키이고 공개키는 해당 키에 접근하기 위한 키로 여러명한테 줘도 문제가 되지 않음
- client(host) → server 키 복사
client(host)에서 생성된 공개키를 server로 복사한다
- 키 생성
명령어 : ssh-keygen
- /root/.ssh/id_rsa 에 키가 저장되었음
- 비밀 문장 입력(비밀번호라고 생각하면 되지만 공백을 넣을 수 있어 길게 입력할 수록 비트수가 커지면서 보안에 유리해짐)
- 연습이니까 비밀 문장은 입력하지 않고 그냥 enter
- 키 복사
명령어 : ssh-copy-id 원격접속지사용자명@원격접속지IP
예시) ssh-copy-id root@192.168.111.200
- 진짜 연결할건지 물어보는데 이때 y라고 치면 안돼고 꼭 yes 라고 쳐야 넘어감
- 내가 접속할 사용자계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해야함 (나는 root로 연결하겠다고 했으니 root 계정의 내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
- ssh 원격 접속
명령어 : ssh root@192.168.111.200
- 정상적으로 접속 되었는지 ip a 입력해서 확인하기
- 원격을 종료 할 때는 exit 명령어를 사용해서 나가기
10.0.2.161 - 옆사람 ip 라고 할 때
- Server A, B를 초기화 하시오.
- 디스크 100G 한 개를 Server B 추가하시오.
- 팀원의 Server B에 본인의 Server A에서 출발하여 접속하되, 키 교환을 통해 비밀번호 없이 접속하시오.
- 완료 후 접속된 팀원의 원격 서버에 접속한 상태 그대로 상대방의 하드 디스크를 다음과 같이 포맷 및 마운트하시오.
- 파일 시스템 xfs 형식으로 포맷
- 파티션 6개를 임의로 분할하여 설정
- 그 중 2개 이상을 /4glmount/test1 및 /4glmount/test2에 마운트
옆자리 사람의 ip가 10.0.2.161이라고 생각하고 작업
- 스냅샷 → 설정완료
- Server B → Disk 100G 추가
- 나의 Server A 접속
- ssh-keygen (ssh 키 생성)
- ssh-copy-id root@10.0.2.161
- 원격 접속
- ssh root@10.0.2.161
- fdisk /dev/sdb
- 파티션 6개 추가 & 저장 후 나가기
- mkdir -p /4glmount/test1
- mkdir /4glmount/test2
- mount /dev/sdb1 /4glmount/test1
- mount /dev/sdb2 /4glmount/test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