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dpress, FTP, DB 구축 및 DNS 서버 설정 실습

sso·2025년 4월 11일
0

리눅스 서버

목록 보기
25/40

Server A, B를 초기화 한 후 작업하시오.

3인 1조로 다음 서버 구조를 만드시오.

팀원 1 : 자신의 Server B에 웹 서버를 통한 Wordpress 설치
팀원 2 : 자신의 Server B에 웹 서버를 통한 FTP 서버 설치
팀원 3(나) : 자신의 Server B에 MariaDB DBMS를 통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후 팀원 1, 팀원 2에게 제공

단, 팀원 1, 2, 3 모두 자신의 Server A에 DNS 서버를 구축하고 자신이 생성한 서버를 자신이 정한 도메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드시오. 이 때 서브 도메인은 Wordpress일 경우 www1, FTP일 경우 ftp, DB일 경우 db를 사용하시오.

e.g.
팀원 1 : www.naver.com
팀원 2 : ftp.blizzard.io
팀원 3 : db.daum.net

모든 팀원은 다른 어떠한 팀원의 DNS를 사용하더라도 연결할 수 있도록 만드시오. 도메인은 중복되지 않도록 공유 - 도메인을 참조하시오.

내꺼 - a 214, b 191
jym - a 206, b 161
lds - a 211, b 223

Server B - wordpress에 제공할 DB 구축

dnf -y install mariadb-server
systemctl --now enable mariadb
firewall-cmd --add-service=mysql --permanent
firewall-cmd --reload

mysql

  • CREATE DATABASE jymdb;
    GRANT ALL ON jymdb.* TO jym@10.0.2.161 IDENTIFIED BY '1234';

Server A - dns 서버 설정

dnf -y install bind
vi /etc/named.conf
systemctl --now enable named
vi /etc/named.rfc1912.zones

zone "hero.com" IN {
type master;
file "hero.com.zone";
allow-update { none; };
};

zone "tank.io" IN {
type master;
file "tank.io.zone";
allow-update { none; };
};

zone "slime.io" IN {
type master;
file "slime.io.zone";
allow-update { none; };
};

zone "2.0.10.in-addr.arpa" IN {
type master;
file "dns.rev";
allow-update { none; };
};

cd /var/named
cp -p named.localhost tank.io.zone
cp -p named.localhost slime.io.zone
cp -p named.localhost hero.com.zone
cp -p named.localhost dns.rev

vi tank.io.zone

  • www IN A 10.0.2.161

vi slime.io.zone

  • db IN A 10.0.2.214

vi hero.com.zone

  • ftp IN A 10.0.2.223

vi dns.rev
161 PTR www.tank.io.
223 PTR ftp.hero.com.
214 PTR db.slime.io.

systemctl restart named

vi /etc/resolv.conf
nameserver 10.0.2.214
nameserver 10.0.2.206
nameserver 10.0.2.211
(dns 서버는 a에 구축되었기 때문에 a의 ip로 입력해야함)

nslookup

  • www.tank.io
  • ftp.hero.com
  • db.slime.com
  • 10.0.2.161
  • 10.0.2.223
  • 10.0.2.191

파일질라를 설치하기 싫을 때는
ftp 만 입력할 경우 자동으로 설치해줌 혹은 dnf -y install ftp 설치
그 후에 ftp ftp.hero.com, 즉 ftp 도메인을 입력한 후 로그인했을 때 연결이 된다면 정상적으로 연결된걸 알 수 있음

profile
오늘도 하나씩 해결해 나가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