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ony, 리브레오피스, vi(편집기), 실습 총정리 문제

sso·2025년 3월 25일
0

리눅스 서버

목록 보기
13/40

p324

1. 크로니

  • chrony : 크로니는 시간 다시 정상화시켜주는 역할을 함

systemctl status chronyd (크로니 데몬)

1-1. 시간을 명령어로 돌렸을 때 다시 시간 정상화시키기

chronyc -a makestep

크로니로 시간 돌렸는데도 일시정지를 통해 메인보드에서 시간이 안갔다면 리부트해서 껏다키면 정상화 될것임

2. 리브레 오피스

ms오피스 - 유로
리브레 오피스 - 무료

리브레 오피스는 ms오피스랑 호환성이 좋음

2-1. 압축파일 다운로드했으니까 압축 해제하는 명령어

tar xfz 파일명

그냥 install 해도 되지만 직접 수동 설치
RPMS 진입

.rpm 설치파일 한가득임

rpm 명령어로 설치하면 저 많은걸 일일이 하나하나 설치해야 되서 묶음으로 설치

dnf -y install lib -> lib로 시작하는 파일 다 다운로드 (조건은 lib로 해도 되고 *.rpm으로 해도 됨)

(꼭 설치파일이 있는곳으로 디렉터리 변경해서 dnf 로 설치해야만 해당 디렉터리 내의 파일만 다운로드함.
다른경로에서 dnf 쓰면 미러리스트 통해서 웹에있는 libreoffice가 다운받아짐)

한글패치까지 설치 완료 및 설치 확인

libreoffice 실행

RPMS 파일 내에서 libre 치고 tap 치면 자동완성되면서 libreoffice25.2 로 프로그램이 실행됨

  • libreoffice25.2 --calc : 엑셀 실행됨

writer 워드, calc 엑셀, impress 파워포인트 등 ms하고 동일하다고 생각하면 쉬움

p358

2. 편집기

  • 파일 편집기 vi 사용하다가 갑자기 강제종료당하면 ls -r 로 다시 돌아갈 수 있음
    확인은 ls -a 를 통해서 .swp 파일이 있다면 임시저장 파일이 있다는것이다.

파일에 다시 들어가면 .swp 을 사용해서 열어주는데 바로 저장할 것.
그리고 나서 해당 .swp 파일은 삭제해야함
안지우면 들어갈때마다 경고뜸 swp 발생했다는 뜻

2-1. .exrc 실습

vi .exrc 이렇게 파일을 만들어야함
이름을 입력해서 확장자처럼 사용하면 못씀 (예. vi tmep.exrc - 이름X)

3. 실습 문제

Server B를 초기화 한 후 작업하시오. 디스크 2개를 임의의 용량으로 추가해 놓으시오.

  • 상대방의 ip : 10.0.2.161
  1. 상대방, 즉 팀원에게 SSH 접속을 수행하되, 비밀번호 없이 접속할 수 있도록 키를 교환한 후 접속하여 작업하시오.

내가 내 서버에서 (server a에서 작업)

ssh-keygen
ssh-copy-id root@10.0.2.161
ssh root@10.0.2.161

ssh root@를 통해 상대방 서버에 원격으로 접속한 상태임
ip a를 사용해 ip 확인

  1. 3개의 그룹을 생성한 후 유저를 만드시오.
  • naver 그룹 - nuser1, nuser2, nuser3
  • daum 그룹 - duser1, duser2, duser3
  • google 그룹 - guser1, guser2, guser3
    각 user1은 uid를 10000번 이상으로 부여하시오. 3개의 계정 모두 쉘은 bash 외에 다른 쉘을 지정하시오.
    각 user2는 비밀번호 사용 최대 기한을 2달로 제한하시오.
    각 user3은 로그인 할 수 없도록 지정하시오.

    groupadd naver
    groupadd daum
    groupadd google

    useradd -u 10000 -g naver -s /bin/ksh nuser1
    useradd -g naver nuser2
    useradd -g naver -s /bin/nologin nuser3

    useradd -g daum -s /bin/ksh duser1
    useradd -g daum duser2
    useradd -g daum -s /bin/nologin duser3

    useradd -g google -s /bin/ksh guser1
    useradd -g google guser2
    useradd -g google -s /bin/nologin guser3

    chage -M 60 nuser2
    chage -M 60 duser2
    chage -M 60 guser2

  1. 디스크 2개를 추가한 후 다음을 작업하시오.
    1번 디스크 주 파티션 2개로 분할
    각각 ext4로 포맷 후 /disk1p1, /disk1p2에 마운트
    2번 디스크 논리 파티션 4개로 분할
    각각 xfs로 포맷 후 /disk2p1, /disk2p2, /disk2p3, /disk2p4에 마운트

1번 디스크

fdisk /dev/sdb
n
+10G
n
+20G
w
mkdir /disk1p1
mkdir /disk1p2
mkfs -t ext4 /dev/sdb1
mkfs -t ext4 /dev/sdb2
mount /dev/sdb1 /disk1p1
mount /dev/sdb2 /disk1p2

2번 디스크

fdisk /dev/sdc
n
p
+100G (전부 다 줌)
-공간을 다 줘버리니까 이후에 주파티션, 확장파티션 못만들어서 새로 만들 경우 자동으로 논리 파티션으로 생성됨-
+10G
+20G
+30G
+40G
mkdir /disk2p1
mkdir /disk2p2
mkdir /disk2p3
mkdir /disk2p4
mkfs -t xfs /dev/sdc5
mkfs -t xfs /dev/sdc6
mkfs -t xfs /dev/sdc7
mkfs -t xfs /dev/sdc8
mount /dev/sdc5 /disk2p1
mount /dev/sdc6 /disk2p2
mount /dev/sdc7 /disk2p3
mount /dev/sdc8 /disk2p4

  1. 상단에서 만든 /disk2p1 디렉터리에 다음 백업을 수행하시오.
    매주 수요일 오후 9시 10분에 /var/log 디렉터리를 /disk2p1에 백업하되, 당일의 날짜가 반드시 들어가도록 하고 tar.gz 압축 확장자로 압축되도록 만드시오.

vi /etc/crontab

10 21 * * 3 root run-parts /etc/cron.weekly

cd /etc/cron.weekly
vi backup.sh

#!/bin/bash
set $(date)

name="$6-$2-$3_backuptar.gz"

tar cfz /disk2p1/$name /var/log

ll /var/ | grep log
(해당디렉터리의 권한이 이미 모두 있음, 소유자가 root임)
ll /etc/cron.weekly/backup.sh
(실행해야 하는 .sh 파일에 x(실행) 권한이 없어서 줘야함)
chmod a+x /etc/cron.weekly/backup.sh

date 040221092025.45
systemctl restart crond

profile
오늘도 하나씩 해결해 나가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