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서버 구축 실습

sso·2025년 4월 3일
0

리눅스 서버

목록 보기
20/40

웹 서버

웹 서버는 팀 버너스 리 박사가 개발하였음
웹 서버 프로그램에서는 아파치 http, Nginx를 많이 씀

dnf -y install httpd

rpm -qi tthpd
언제 설치되었는지, ㅇ너제까렸는데;

rpm -ql httpd | grep gif
내 컴ㅌ에 서리ㅏ ㄴ파일 찾아봄

vi /etc/httpd/conf/httpd.conf

행번호 :set nu

  1. 도메인명, ip 주소 기재
  • 도메인명:포트번호 (웹의 포트 번호는 80)

  1. 웹 문서 저장 디렉터리
  • DocumentRoot "/var/www/html"

  1. DirectoryIndex index.html
  • 가장 먼저 인식되는 파일의 형식
    기본값으로 index.html이며 index.html로 만들어야 만든 내용이 보임 (메인 화면)

1. 웹 문서 만들기 실습

1-1. 웹 문서가 인식되는 경로로 이동

cd /var/www/html

1-2. 웹에서 가장 먼저 인식되는 index.html 파일 생성

vi index.html

<HTML>
	<HEAD>
		<TITLE>Here is TITLE</TITLE>
	</HEAD>
	<BODY>
		Here is BODY<br>
		이곳은 BODY 본문 내용 공간입니다.
	</BODY>
</HTML>

1-3. 웹 서버 가동

systemctl start httpd
systemctl enable httpd - 부팅 시 웹 서버 자동 활성화
(두개 합쳐서 systemctl --now enable httpd 입력해도 무관)

1-4. firefox에서 내가 만든 웹 확인

1-5.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해 방화벽 개방

firewall-cmd --add-service=http --permanent (영구적으로 해당 서비스에 대하여 방화벽 개방)
firewall-cmd --reload
(--permanent 라는 조건이 있어서 --reload를 사용하는것으로 만약 해당 조건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reload는 사용할 수 없음)

방화벽을 열었다면 window에서도 접속이 가능함

2. 웹 서버 실습 문제

Server B를 초기화 한 후 작업하시오.

다음 구조와 같은 로컬 서버 디스크를 구성하시오.

RAID 51로 만든 가상 md 장치 상에 LVM을 구현하고, 만들어진 LV 상에 임의의 파일 시스템으로 quota를 구현하시오.
(fdisk 타입 변경은 raid용 디스크에만 수행)

  1. RAID 51을 가장 먼저 수행하여 가용성을 확보
  2. 이후 해당 장치의 결과물을 LVM으로 구성하여 탄력성을 확보
  3. LVM을 통해 만들어진 LV를 특정 디렉터리에 마운트하여 사용량이 제한된 홈 디렉터리로 사용

모든 요소가 연계되어 구성되도록 하시오.

설계 시 필요한 디스크나 이름 등은 임의로 수행하시오.

raid 51을 만들기 위해서는 최소 6개의 디스크가 필요

fdisk /dev/sdb ~ /dev/sdg
n
t - fd
w

dnf -y install mdadm

mdadm -C /dev/md1 -l 5 -n 3 /dev/sdb1 /dev/sdc1 /dev/sdd1
mdadm -C /dev/md2 -l 5 -n 3 /dev/sde1 /dev/sdf1 /dev/sdg1

mdadm -C /dev/md3 -l 1 -n 2 /dev/md1 /dev/md2

dnf -y install lvm2

pvcreate /dev/md3
vgcreate vg1 /dev/md3
lvcreate -L 10G -n lv1 vg1

mkfs.xfs /dev/vg1/lv1
mkdir /newhome

마운트 1번 방법
mount /dev/vg1/lv1 /newhome
mount -o uquota,gquota /dev/vg1/lv1 /newhome

vi /etc/fstab

  • /dev/vg1/lv1 /newhome xfs defaults 0 0

마운트 2번 방법
mount -o uquota,gquota /dev/vg1/lv1 /newhome

reboot

profile
오늘도 하나씩 해결해 나가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