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널, dnf 패키지 설치, 방화벽, 명령어

sso·2025년 3월 11일
0

리눅스 서버

목록 보기
4/40

1. Terminal? Shell?

리눅스에서 우리가 사용하는 터미널은 쉘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Terminal = Shell 같은 의미이다.

2. 커널 Kernel

User - 사용자

Shell = Terminal → 사용자의 명령어를 커널에 전달하는 역할

Kernel - 커널, 핵심 → 하드웨어 제어에 대한 코드를 가지고 있음, 사용자와 하드웨어의 중간 역할

HW - 하드웨어, 컴퓨터

3. \ (역슬래쉬)

줄에 공간이 부족하다면 역슬래쉬 + enter를 통해 줄바꿈을 할 수 있다.
이때 스페이스바도 인식을 하므로 이전에 스페이스바를 쓰고 역슬래쉬를 썼다면 줄이 바뀐 후에는 스페이스바를 사용하지 않고 그대로 작성하면 된다.

4. 글자 크기 명령어

setfont sun12x22
setfont latarcyrheb-sun32
setfont latarcyrheb-sun16

뒤에있는 숫자 크기에 따라 글자 크기가 바뀜

5. 쉘 화면 청소

clear

6. history 명령어

Tap을 사용하여 자동완성할 수 있다.

명령어들의 기록을 볼 수 있다.

history

  • -c(clear)는 명령어 옵션으로 플래그라고 칭함
  • 해당 옵션은 명령어 기록을 없애라는 의미임
  • 그렇게 추천하지 않는 명령어임... 실수가 발생했을 때 기록을 찾을 수 없기 때문

history -c

7. ping 명령어 옵션

핑을 5번만 보내라는 의미

ping -c(count) 5 google.com

8. 종료 명령어

종료시키는 명령어는 다양하게 존재한다. 편한걸로 사용하면 됨

shutdown -P now
poweroff

9. dnf 패키지 관리자 설치

dnf 패키지 관리자는 RHEL 8 버전부터 등장해서 사용하는 비교적 최신 패키지이며
이전에는 yum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했었음 (RHEL 7버전까지는 yum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했다는 의미)

dnf 및 yum 패키지는 인터넷 접속이 필수로 필요하다.

  • yum 패키지 설치 명령어

yum install telnet-server

  • 설치 되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

rpm -qa | grep telnet

  • telnet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

systemctl(systemcontrol) start telnet.socket

10. Daemon 데몬?

.service → Daemon 데몬

상시 가동되는 백그라운드 서비스를 데몬이라고 칭한다.

11. 설치 할때와 실행할 때 명령어가 다르다?

설치 시 입력한 패키지 이름과 가동 시 입력하는 프로그램의 이름은 다를 수 있다.
ex) 설치 할 때는 telnet-server로 설치했지만 실행하기 위해서 start telnet-server를 사용하면 실행되지 않는다!

  • 설치 및 실행 오류 예시

yum install telnet-server
systemctl start telnet-server

  • 설치 및 실행 성공 예시

yum install telnet-server
systemctl start telnet.socket

12. .service? .socket?

  • .service : 접속 요청 여부에 관계없이 상시 가동
  • .socket : 접속 요청 시에만 가동

13. systemctrl status telnet.socket

active (listening)은 접속 요청을 받을 수 있는 상태인것을 나타낸다.

14. Telnet

텔넷의 기본 포트는 23번이며 TCP 포트를 사용한다.

Telnet 설치 명령어

yum install telnet-server

Telnet 활성화 명령어

systemctl start telnet.socket

15. 방화벽 정책 종류 (영구구적, 일시적)

  • runtime 실행 중
  • permanent 영구적

reload하거나 재부팅하면 사라지는게 runtime으로 telnet을 runtime으로 설정할 때 명령어

firewall-cmd --add-service=telnet

영구적으로 텔넷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firewall-cmd --add-service=telnet --permanent

※ 영구 설정은 적용 후 재시작이 필요함

재시작 명령어

firewall-cmd --reload

16. man(manual) firewall-cmd

명령어 목록을 보겠다는 의미
q를 눌러서 메뉴얼을 종료할 수 있다.

17. 리눅스에서 방화벽

방화벽 - firewall
방화벽은 서버나 호스트의 특정 포트, 주소 등에 접근을 제한하는 정책을 적용한다.

runtime 방화벽 정책에 telnet을 추가했으며 추가가 성공했다는 의미

firewall-cmd --add-service=telnet

모든 방화벽 정책 확인하기

firewall-cmd --list-all

방화벽 정책을 다시 로드하는 명령어
firewall-cmd --reload

런타임 정책에 추가한 서비스 이름은 반드시 영구설정을 하여야만 다시 로드하거나 재부팅 시 사용 가능하다.

18. 리눅스에서 명령어

리눅스는 대소문자를 철저하게 구분한다.

-는 짧음, 약자로 사용함(줄임말)
--는 길고, 전체 이름으로 표시된다

f의 경우 여러 명령어를 쓸 수 있으므로 용도에 맞춰서 잘 사용해야 한다.

19. 재부팅 명령어

  • reboot
  • shutdown -r now

20. SSH

SSH 서버는 원격 연결 표준으로서 OS 설치 시 대부분의 환경에서 기본제공을 한다.

21. 원격접속 클라이언트 MobaXTerm

https://mobaxterm.mobatek.net/

인스톨러 에디션으로 다운로드 하는걸 추천함
(포터블은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음)

  • Session에서 접속할 리눅스의 ip를 입력해서 원격으로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음
    이때 SSH의 포트번호는 22번이라는 걸 알 수 있음
    (만약 Telnet으로 접속할 경우 기본 포트번호는 23번으로 표시되어 있음)

22. 상대방의 서버에 원격접속할 때

  • ip a를 사용하여 ip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이때 ens33에 있는 192.168.111.200은 내부망으로 나만 접속할 수 있음
  • 상대방의 서버에 접속하려면 ens36에 있는 10.0.2.183을 입력하여 접속할 수 있다.

23. 실습 총정리

  1. 텔넷 설치
  2. 텔넷 활성화
  3. 텔넷 상태 (정상적으로 설치 되었는지 확인)
  4. 텔넷을 영구적, 일시적 사용 설정 - 실습에서는 영구적으로 사용하도록 설정
  5. 텔넷 영구설정으로 인해 reload or 재부팅
  6. MobaXterm을 통해 원격 접속 후 poweroff

명령어 정리

  1. yum install telnet-server
  2. systemctl start telnet.socket
  3. systemctl status telnet.sockeet
  4. firewall-cmd --add-service=telnet --permanent
  5. firewall-cmd --reload
  6. poweroff / shoutdown -P now
profile
오늘도 하나씩 해결해 나가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