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이즈에 강하며 설계하기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어 새로운 시스템은 대부분 아날로그 시스템보다 디지털 시스템을 채택
펄스 파형은 low상태와 high 상태를 반복하는 전압레벨로 구성되어 있다.
주기를 가지냐에 따라 주기펄스/비주기펄스로 나뉜다.
위 이미지는 이상적인 주기펄스의 한 형태이며 두개의 에지(edge)로 구성되어 있다.
주파수 : 주기적인 파형이 1초동안에 진동한 횟수 [Hz]
주기 : 주기적인 파형이 1회 반복하는데 걸리는 시간
듀티사이클(충격계수) : t_w/Tx100 [%] (주기펄스가 가지는 high level 의 비중)
A/D coverter (아날로그 -> 디지털)
D/A converter (디지털 -> 아날로그)
컨퍼터를 이용하여 상호변환한다.
컨버터에서는 위와 같은 표본화-양자화-부호화 과정을 거쳐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컴퓨터는 전압을 활용하여 디지털 시스템을 구현한다. 위 그림처럼 전압에 따라 high level과 low level 구간을 나눠 0과 1로 분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