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045 React State & Props

Somi·2021년 6월 29일
0

React

목록 보기
6/11
post-thumbnail

리액트 컴포넌트에서 다루는 데이터는 두가지, props와 state!

- props는 부모 컴포넌트가 자식 컴포넌트에게 주는 값
  (위에서 아래로만 물려줄 수 있고, 받아온 props는 직접 수정할 수 없다!)  
- state는 컴포넌트 내부에서 선언되며, 내부에서 값 변경 가능! 은닉된 정보!

1. Props

1) props의 정의

  • props = properties
  • 단어 뜻대로 컴포넌트의 속성값!
  • props는 부모 컴포넌트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지니고 있는 객체이다.

2) 컴포넌트에서의 props

아래 코드를 보면 부모 컴포넌트에 존재하는 state값을 this.state를 통해 자식 컴포넌트로 속성값으로 넘겨줬다.

// Parent.js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Child from '../pages/Children/Children';

class Parent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 {
    super();
    this.state = {
      color: 'red'
    };
  }

  render() {
    return (
      <div>
        <h1>Parent Component</h1>
		<Child titleColor={this.state.color}/>
      </div>
    );
  }
}

export default State;

3) props 객체

// Child.js

import React from 'react';

class Child extends React.Component {
  render() {
    // console.log(this.props);
    return (
      <div>
        <h1 style={{color : this.props.titleColor}}>Child Component</h1>
      </div>
    );
  }
}

export default State;
  • state와 마찬가지로 props는 객체이다!
  • render함수에서 this.props를 console로 확인해보면 데이터가 key-value형태로 담겨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1 style={{color : this.props.titleColor}}>Child Component</h1>

// this : 해당 컴포넌트
// this.props : 해당 컴포넌트의 props 객체
// this.props.titleColor : props 객체의 특정 key(titleColor)값. 즉 "red"

4) Props와 Event

// Parent.js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Child from '../pages/Children/Children';

class Parent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 {
    super();
    this.state = {
      color: 'red'
    };
  }

  handleColor = () => {
    this.setState({
      color: 'blue'
    })
  }

  render() {
    return (
      <div>
        <h1>Parent Component</h1>
		<Child titleColor={this.state.color} changeColor={this.handleColor}/>
      </div>
    );
  }
}

export default State;
  • props를 통해서 state 값 뿐만 아니라 event handler함수도 넘겨줄 수 있다.
  • 이렇게 넘겨받은 event handler 함수는 자식 컴포넌트에서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
// Child.js

import React from 'react';

class Child extends React.Component {
  render() {
		// console.log(this.props);

    return (
      <div>
        <h1 style={{color : this.props.titleColor}}>Child Component</h1>
		<button onClick={this.props.changeColor}>Click</button>
      </div>
    );
  }
}

export default State;

위 코드는 아래와 같은 순서로 실행된다.
1. onClick 이벤트 발생시 this.props.changeColor를 통해 부모 컴포넌트로부터 전달받은 handleColor함수 실행
2. handleColor함수 실행시 setState함수 호출 -> 색상 값 변경
3. render()함수 호출
4. <Child /> 컴포넌트에 변경된 state데이터 전달
5. this.props.titleColor로 색상을 지정하는 h1타이틀 색상 변경

2. State

1) State 정의

  • 컴포넌트 내부에서 가지고 있는 컴포넌트의 상태값
  • state는 화면에 보여줄 컴포넌트의 ui정보를 지니고 있는 객체

2) State 사용법

import React from 'react';

class State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 {
    super();
    this.state = {
      color: 'red'
    };
  }

  render() {
    return (
      <div>
        <h1>Class Component | State</h1>
      </div>
    );
  }
}

export default State;
  • 여기서 constructor는 class 내에서 객체를 생성화하고 초기화 하기 위한 메서드이다! state값을 초기화 하거나, 메서드를 바인딩할때 사용된다.
  • 파생클래스에서 'thi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super()를 호출해야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참조에러가 발생한다.
  • 클래스형 컴포넌트 안에는 필수적으로 render함수가 필요하고, 화면에 나타내고 싶은 jsx요소가 return문 안에 들어있다.
  • 그리고 나서 this.state값에 컴포넌트의 초기 상태값을 설정해주었다.

3) state 객체

 this.state = {
      color: 'red'
 };
  • 컴포넌트의 state는 객체이다.
  • 객체 안의 key는 원하는대로 설정할 수 있다.

state에서 상태값을 설정하는 이유는 컴포넌트 안의 요소에서 그 상태값을 반영해서 데이터가 바뀔 때마다 효율적으로 UI에 나타내기 위함이다!!!!

4) State & Event

import React, { Component } from 'react';

class State extends Component {
  constructor() {
    super();
    this.state = {
      color: 'red',
    };
  }

  handleColor = () => {
    this.setState({
      color: 'blue'
    })
  }

  render() {
    return (
      <div>
        <h1 style={{ color: this.state.color }}>Class Component | State</h1>
        <button onClick={this.handleColor}>Click</button>
      </div>
    );
  }
}

export default State;
  1. button에서 onClick 이벤트 발생 ->this.handleColor, 즉 handleColor 함수 실행
  2. handleColor함수가 실행되면서 state의 초기값 을 'blue'로 변경
  3. render함수 호출-> 바뀐 값 반영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