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IaaS, PaaS, SaaS

웅평·2024년 7월 10일
0

서비스로서의 클라우드 컴퓨팅을 구분할 때, 보통 다음의 용어가 사용되는데요

IaaS, PaaS, SaaS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Cloud Service Provider, 이하 CSP)가 컴퓨팅 자원의 어느 단계까지 고객에게 서비스할 것인가를 기준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을 구분합니다.

Packaged Software


그림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직접 인프라와 플랫폼, 어플리케이션까지 모두 구성하여 관리하는 모델을 의미합니다.

정리
물리적인 장치, 하드웨어(CPU, RAM, Storage, Network device 등등)을 모두 직접 구매해야 합니다.
직접 OS를 설치해야 합니다.
네트워크 환경을 직접적으로 구성해야 합니다.
서버 관리를 직접적으로 해야 합니다. (트래픽, 프로지버닝 등등)
이런 모든 것을 직접 사용자가 다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큰 시간과 돈을 소비하게 됩니다.

IaaS

📖 개요
● 서비스형 인프라 / Infrastructure-as-a-Service

‘서비스로서의 인프라’를 뜻이며 사용자가 관리할 수 있는 범위가 가장 넓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이다.
IaaS는 기업이 준비해놓은 환경에서 우리가 선택할 수 있다.
고객은 OS와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관리해야 한다.
관리 측면에서 개발자와 인프라 관리자의 역할을 분담시킬 수 있다.

● IaaS 서비스 제공 업체(CSP)는 인터넷을 통해 인프라 자원을 제공

* 인프라 자원: 네트워크, 스토리지(저장 공간), 서버(+가상화)

● IaaS 사용자는 클라우드 콘솔 또는 API를 통해 인프라를 제어하고,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운영체제(O/S), 미들웨어 및 런타임을 직접 처리

🔎 특징

● 사용자는 IT 자원에 대해 가장 높은 수준의 유연성과 관리 자유도를 가짐
물리적 자원 제공
IaaS는 고객에게 서버, 네트워크, OS, 스토리지의 서비스를 가상화하여 제공하고 관리한다.
IaaS는 가상화된 물리적인 자산을 UI 형태의 대시보드 또는 API로 제공한다.
필요한 만큼의 자원만 빌려서 사용할 수 있다.
IaaS의 고객들은 서버와 스토리지를 접근할 수 있지만 사실상 클라우드에 있는 가상 데이터 센터를 통해 리소스를 전달받는 형태이다.
IaaS의 제공업체는 서버, 하드 드라이브, 네트워킹, 가상화 및 스토리지를 관리하며 고객은 OS,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와 같은 자원들을 관리한다.

✨ 관련 서비스
● AWS EC2, S3,
AWS의 EC2는 물리적인 서버와 Network, Storage 등 원하는 OS를 깔아 서버로 사용할 수 있다.
AWS의 EC2는 사용자가 원하는 OS를 고르고 원하는 스펙을 선택하기만 하면, 모든 관리를 AWS에서 해준다. OS의 종류나 다양한 자원들을 사용자가 선택하므로 대표적인 IaaS이다.

● 퍼블릭 클라우드 공급 업체(CSP)
AW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 OpenStack와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 공급업체가 IaaS의 예시

장단점
장점은 고객은 가상 서버 하위의 레벨에 대해서는 고려할 필요가 없다
단점은 바로 가상 서버 하위의 레벨에 대해서는 전혀 고객이 접근하거나 컨트롤할 수 없다.
가장 많은 부분을 변경 할 수 있는 많큼 자유도가 가장 높지만 신경써야 할 부분이 많다.

PaaS

📖 개념

● 서비스형 플랫폼 / Platform-as-a-Service

‘서비스로서의 플랫폼’이라는 의미이며, IaaS 형태의 가상화된 클라우드 위에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개발 환경(Platform)을 미리 구축해, 이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다.
인프라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는 OS, Server 하드웨어, Network 등을 고려할 필요가 없이 어필리케이션 자체에만 집중할 수 있다.
즉 개발자는 빠르게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서비스 가능하게 할 수 있습니다.
PaaS는 node.js, Java와 같은 런타임을 미리 깔아놓고, 거기에 소스코드만 적어서 빌드하는 구조이며, 컴파일은 클라우드에서 하여 결과만 가져온다.

● IaaS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핵심 인프라를 호스팅하고, 운영 체제(O/S)와 미들웨어까지 제공

* 미들웨어: 운영 체제와 애플리케이션 사이에서 운영 체제가 제공하지 않는 기능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예) WAS(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개발/배포, 서비스 관리를 담당

🔎 특징

● 사용자는 인프라뿐 아니라 개발에 필요한 플랫폼 관리에 신경 쓰지 않고 웹/앱 개발에 집중할 수 있음

PaaS는 고객에게 OS, 미들웨어, 런타임과 같은 소프트웨어 작성을 위한 플랫폼을 가상화하여 제공하고 관리한다.
이 가상화된 플랫폼은 웹을 통해 제공되며 개발자는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저장소 또는 인프라에 대한 관리없이 소프트웨어 개발에 집중할 수 있다.

✨ 관련 서비스
● Lambda, AWS Elastic Beanstalk, Google App Engine

장단점
장점은 PaaS의 경우 이미 설치된 미들웨어 위에 코드만 돌리면 되기 때문에, 관리가 매우 편한 가장 이상적인 어플리케이션 플랫폼 관점의 클라우드 모델이다.
단점은 어플리케이션이 플랫폼에 종속되어 개발되기 때문에 다른 플랫폼으로의 이동이 어려울 수도 있다.

SaaS

📖 개념

●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 Software-as-a-Service

N드라이브’, ‘구글 드라이브’, ‘iCloud’ 등은 SaaS에 해당하는 서비스이다.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를 의미이며,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 중 가장 완성된 형태의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모든 것을 기업(클라우드)에서 제공함으로 사용자는 별도의 설치나 부담이 필요 없이 SW를 사용할 수 있다.

● CSP가 인프라(IaaS)와 미들웨어(PaaS) 뿐 아니라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완전한 소프트웨어를 제공

 * 애플리케이션: 응용 프로그램,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완전한 소프트웨어 솔루션

● 사용자는 웹 브라우저 또는 앱을 통해 소프트웨어에 접속

🔎 특징
● 사용자는 완전한 솔루션을 이용하기 때문에, 서비스 유지/관리에 가장 효율적이지만 보안 및 성능면에서 제어할 수 있는 부분이 적음

고객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제공
SaaS는 고객을 대신하여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를 제공하고 관리한다.
패키지 또는 On-premise 방식인 기존의 소프트웨어 전달 방식과 다르게 SaaS는 개별 컴퓨터에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할 필요가 없다.
SaaS를 통해 서비스를 공급하는 업체는 데이터, 미들웨어, 서버 및 스토리지와 같은 모든 잠재적인 기술적 문제를 관리하기 때문에 고객은 유지 보수 및 자원을 간소화하면서 비즈니스에 집중할 수 있다.

✨ 관련 서비스

● AWS Marketplace Solution, NHN Cloud Dooray

● NHN Cloud 마켓플레이스 솔루션

장단점
장점은 Public Cloud에 있는 S/W를 웹 브라우저로 불러와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는 웹만 접속하면 되기 때문에 사용하기 매우 쉽고, 최신 S/W 업데이트를 빠르게 제공받을 수 있다.
단점은 SaaS의 특성상 반드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고, 외부의 데이터 노출에 대한 위험이 있다.

출처
https://velog.io/@yange/IaaS-PaaS-SaaS%EC%97%90-%EB%8C%80%ED%95%98%EC%97%AC
https://inside.nhn.com/br/storyDetail.nhn?no=173
https://wnsgml972.github.io/network/2018/08/14/network_cloud-computin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