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I Learned D - 5

손상훈·2022년 9월 5일
0

Today I Learned D - 5

< 파이썬 알고리즘 백준 문제풀이 >

< 1001번 >

A,B = input().split()
print(int(A)-int(B))

  • 두 개의 변수를 숫자로 변환시켜주는 input()을 사용하고 3과2사이에 공백은 .split()
    을 넣어준다.

< 10998번 >

A,B = input().split()
print(int(A)*int(B))

  • 1001번과 마찬가지이고 곱하기는 *를 넣어준다.

< 1008번 >

A, B= input().split()
print(int(A)/int(B))

  • 1001번과 마찬가지이고 나누기에 몫을 구하는 /(슬래시)를 넣어준다.

< 10869번 >

A,B = map(int,input().split())
print(A+B, A-B, A*B, A//B, A%B, sep='\n')

  • sep='\n'로 줄바꿈

  • map을 사용하여 편하게 한줄로 써줬고, /(슬래시)같은 경우는 두번써야 /(슬래시)적용이 된다.
    줄 바꿈은 따로 쓰지않는 이상 한줄로 쓸 때 sep='\n'를 써준다.

< 10926번 >

id = input()
print(id + "??!")

  • 프린트에서 +를 하면 더해서 나온다.

< 18108번 >

y = int(input())

print(y - 543)

< 3003번 >

c = [1, 1, 2, 2, 2, 8]
data = list(map(int, input().split()))

for i in range(6) :
print(c[i] - data[i], end=' ')

  • 반복문을 통해 c리스트의 i번째 값에서 data리스트의 i번째 값을 뺀 값을 출력한다.

< 10430번 >

A,B,C = map(int,input().split())

print((A+B)%C, ((A%C)+(B%C))%C, (AB)%C, ((A%C)(B%C))%C, sep='\n')

  • 한줄로 이렇게 써서 sep='\n' 을 넣어서 줄바꿈을 해줘도 되고, 아니면
    A, B, C = input().split()
    A = int(A)
    B = int(B)
    C = int(C)
    이렇게 각각 나열해서 작성하여 출력한다.

< 2588번 >

A = int(input()) # 첫번째 입력받은 문자 : 숫자로 변환
B = input() # 두번째 입력받은 문자 : 문자열 그대로 둠

  • 문자열의 인덱스를 이용해서 두번째 입력 받은 문자를 하나씩 숫자로 반환하고 A와 곱한다.
    AxB2 = A int(B[2])
    AxB1 = A
    int(B[1])
    AxB0 = A int(B[0])
    AxB = A
    int(B)

print(AxB2, AxB1, AxB0, AxB, sep='\n')

  • sep='\n'로 줄바꿈

< 10171번 >

print("\ /\") # \" 앞에 \를 붙여준다.
print(" ) ( ')")
print("( / )")
print(" (__)|")

< 10172번 >

print("|_/|")
print("|q p| /}")
print('( 0 )"""\') # \'앞에 \을 붙여준다.
print('|"^"` |')
print("||_/=\__|") # \ 앞에 \을 하나 더 붙여준다.

  • \n (줄 바꿈),\t (탭),\b (백스페이스),\\ (백 슬래시),\' (작은따옴표),\" (큰따옴표)
    백 슬러시뒤에 따옴표를 붙여사용하면 이스케이프로 인식해서 방지하기위해 한번 더 붙여줌.

< 25083번 >

print(' ,r\'\"7')
print('r-_ ,\' ,/') print(' \. \". L_r\'') print(' ~\/')
print(' |')
print(' |')

  • 파이썬 조건문 문제 2일차

< 1330번 >

  • if조건식 코드
    A,B = map(int,input().split())

if A > B:
print('>')
elif A < B:
print('<')
else:
print('==')

  • 삼향 연산자 코드
    A,B = map(int,input().split())

print('>') if A > B else print('<') if A < B else print('==')

< 9498번 >

  • if조건식 코드
    score = int(input())

if score >= 90 :
print('A')
elif score >= 80 :
print('B')
elif score >= 70 :
print('C')
elif score >= 60 :
print('D')
else:
print('F')

< 2753번 >

A = int(input())

if ((A%4 == 0)and(A%100 != 0)) or (A%400 == 0):
print('1')
else:
print('0')

< 14681번 >

x= int(input())
y= int(input())

if x > 0 and y > 0 : # x,y: 양수
print('1')
elif x < 0 and y > 0 : # x:음수, y:양수
print('2')
elif x < 0 and y < 0 : # x,y: 음수
print('3')
else:
print('4')

느낀점: 알고리즘 문제들을 풀어보면서 강의들었던거에 한해서는 1일차꺼는 해볼만 했는데 그 이후론 구글링을 통해서 해야만 했다. 그리고 이해하고 넘기는 방식으로 진행중이다.

profile
< 코린이의 코딩모험기 >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